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재빠른글라이드
재빠른글라이드22.10.11

일산화탄소의 특징과 경보기는 어디에 설치해야하나요?

일산화탄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일산화탄소는 어떤 특징이 있는건가요?

경보기를 설치하려면 위쪽 아랫쪽중

어느쪽에 설치 하는게 효율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설치 위치 경보기를 천장에 설치할 땐 벽에서 최소 30cm 떨어진 위치, 벽에 설치할 땐 천장으로부터 최소 15cm 떨어진 위치에 합니다. 경보기는 창문이나 문보다 높게 위치시키며, 경사진 천장일 경우 높은 위치에 설치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산화탄소분자의 무게는 애매해서 일반공기에 있을 때 가라앉지도 뜨지도않는 애매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감지기는 바닥으로부터 150센치미터이상 높이에 설치하는것이 가장 센싱능력이 좋고,

    자는곳 주변에 설치하는것이좋습니다.


    또한, 보일러실이나 화장실에는 설치하지않고 각 방이나 복도등에 추가설치하는것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산화탄소(CO)는 무색, 무자극, 무향(향이 안남), 무미(맛이 안남)의 가스이며 공기와 비슷하지만 조금 더 가볍습니다.

    그래서 천장으로부터 떨어진 10~30cm 사이에 설치해야하며, 벽에서 10c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이는, 수치모델링이나 실험을 통해 얻어진 사실이며, 천장에서 10cm, 벽에서 10cm 인 구역인 모서리 부근에 설치하면 일산화탄소가 없는 구역이라 경보기가 울리지 않는다고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일산화탄소는 낮은 농도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스로 무색, 무취, 무미의 공기보다 약간 가벼운 기체입니다. 일산화탄소는 탄소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모든 물질이 연소하는 과정에서 산소의 공급이 부족할 경우, 불완전 연소가 되어 주로 발생합니다. 특히 실내에서는 취사나 난방으로 인한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예전 보일러공급이 보편화 되어 있지 않을 때 연탄가스 중독사고가 빈번했는데 이 역시 일산화탄소 중독에 의한 피해였습니다. 사람들이 평소 일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흡연은 사람들이 일산화탄소에 노출 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일산화탄소의 실내 오염원이기도 합니다.

    일산화탄소 경보기의 설치위치는 천장에 설치할 땐 벽에서 최소 30cm 떨어진 위치, 벽에 설치할 땐 천장으로부터 최소 15cm 떨어진 위치에 합니다. 경보기는 창문이나 문보다 높게 위치시키며, 경사진 천장일 경우 높은 위치에 설치합니다. 설치 금지 장소로는 커튼 가구등 장애물이 있는 곳, 바닥, 창문, 가스레인지, 환풍기 근처, 먼지가 많고 습기가 많은 곳은 피해주셔야 합니다.


  • 일산화탄소는 혈액중에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공급을 못하도록하여 호흡곤란 증세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게다가 무색 무취이기 때문에 일산화탄소를 마시고 있는지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경보기는 불이나기 쉬운 천장에 설치하는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