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를 올릴때 마다 무슨스텝 하는데 유래를 알고싶어요
금리를 올릴때마다 뭐 25bp 는 베이비스텝.. 빅스텝 이렇게 말하잖아요 ㅎㅎ 처음부터 끝까지 다른것 알려주세요 그리고 이렇게 부르는 유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상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는 %로 나타낼 수 있지만,
0.25%라고 하는 것보다 25bp(Basis Point, 기본단위)라고 하는 게 보기에도 읽기에도 편하기때문에,
0.25%를 25bp,
0.50% 50bp
0.75% 75bp
1.00% 100bp라고 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었던 앨런 그리스펀이 0.25% 또는 25bp를 베이비스텝(Baby Step, 아기 걸음마 수준)이라고 불렀다네요.
어쨌든 Basis Point는 0.01%를 뜻하는 것이고,
아마도 금리인상을 하거나 인하를 할 때 시장이 크게 요동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베이비스텝이란 단어를 쓰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러나 지난 2년동안 미국의 연준은 베이비스텝, 빅스텝, 자이언트스텝까지 동원했었네요.
뭐 여기에, 베이비스텝보다 낮으면 마이크로스텝(10~15bp)도 있고, 1%, 100bp는 울트라스텝이라고도 하는데,
이건 아마 언론에서 만들어낸 단어들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Big, Giant, Ultra라는 단어가 가진 이미지처럼 시장은 금리인상 또는 인하 폭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겠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텝은 큰 발전을 하거나 큰 도약을 뜻할때 쓰는 말이지만, 경제분야에서는 금리인상을 할때 표현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이언트스텝 0.75% 인상
울트라 스텝 1% 인상
실제로 미국에서는 이렇게 부르지 않으며
우리나라에서 붙여진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스텝에는 총 5단계가 있습니다.
1단계 베이비스텝 - 0.25% 상승
2단계 빅스텝 - 0.5% 상승
3단계 점보스텝 - 두번이상 0.5% 상승
4단계 자이언트스텝 - 0.75 상승
5단계 울트라 자이언트스텝 - 1% 이상 상승
유례라고는 딱히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이비 스텝,빅 스텝 모두 그린스펀 시대 만들어진 표현입니다. 직전의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빅 스텝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이와 차별화를 두기 위해 한국 언론에서 자이언트 스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