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DP가 경제 용어라고 하는데 무슨 뜻인가요?
GRDP라는 단어를 보았는데 긴 영어를 약자로 나타낸 것 같은데 길게 풀면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이 단어가 어디에 사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GRDP는 지역내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 GRDP)이란 용어로 일정 기간 동안에 일정 지역 내에서 새로이 창출된 최종생산물가치의 합, 즉 각 시ㆍ도내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입니다. 보통 우리나라같은 각 시도별 경제생활 비교 시에 많이 쓰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의 약자로 지역내 총생산량을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RDP는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서 지역내 총생산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GRDP는 일정 기간 동안에 일정 지역 내에서 창출된 최종생산물가치의 합을 말하는 것이며, 각 시도내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입니다. 이는 쉽게 생각하면 시도별 GDP라고 이해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GDP와 별도로 GRDP를 산정하는 것은 지자체별 경제실태를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종합지표로서 지역 관련 계획의 수립 및 지역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역내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 GRDP)이란 일정 기간 동안에 일정 지역 내에서 새로이 창출된 최종생산물가치의 합, 즉 각 시ㆍ도내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입니다. 즉, 쉽게 말해 시도별 GDP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역내총생산에서 지역의 범위를 국가 전체로 확장하면 국내총생산(GDP)과 같은 의미가 됩니다. 하지만,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의 합계와 국내총생산이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지역내총생산이나 국내총생산은 모두 UN이 권고한 국민계정체계(SNA : System of National Account)에 따라 추계되지만 통계작성 시 이용되는 기초자료 및 자료 이용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