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털털한관박쥐38
털털한관박쥐3823.02.09

자기부상열차 원리를 알려주세요

말만 들어봤지 실제로 보지는 못했네요

속도도 빠를거 같은데 상용화가 잘 안되는건지...

무튼. 자기부상열차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자기부상열차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자력을 이용해 띄워서 운행하는 열차입니다.

    자력 양극의 흡인력과 반발력을 이용해 열차를 궤도에서 1㎝ 정도 띄우고, 궤도의 리액션 플레이트와 리니어모터에 1초당 4000회 이상의 극이 바뀌는 자력을 발생시켜 추진력을 만듭니다.

    즉, 1초에 4000번 이상 자력에 의한 밀고 당기기가 반복되며 부상하고 추진력을 얻는 것입니다.


  • 자석이 같은 극이면 반발력이 생기는 것이 자기부상 열차의 원리 입니다.

    전류가 변하면 자기장이 생기는데 1초에 약 4천번 정도의 전기를 껐다 켰다해서 자기장을 만듭니다.

    이 자기장으로 열차가 약간 뜨게되면 그 이후에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모터로 열차의 추진력을 만들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석은 같은 극끼리 미는 힘 즉 척력이 작용하는데 이 원리를 이용하여 열차 바닥과 선로를 같은 극의 자석으로 만들어 열차가 뜨게 한 것이 자기 부상 열차입니다.


    하지만 수백 톤이 넘는 열차를 띄우려면 엄청나게 자력이 강한 자석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강한 자석을 만들려면 쇠막대를 코일로 감아서 높은 전류를 흘려 보내야 하는데 이렇게 높은 전류를 흘려 보내면 코일이 모두 녹아 버립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초전도 자석입니다. 초전도 자석에 사용된 코일은 저항이 거의 0에 가까워 아무리 높은 전류를 흘려 보내도 저항이 거의 없으므로 코일에 열이 발생하지 않고 이 때문에 기차를 띄울 수 있는 강한 전자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