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분리수면 노하우 전수해주세요.
초등학교 4학년인데요.
아직도 떨어져잘려고 하지않습니다.
밤에 조용히 자고싶은데 아이들때문에 너무 힘드네요.
분리수면 어떻게 해야되죠?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의 분리수면을 하기 위해선 단지, 아이가 싫어하는데 강제적으로 떼어 놓지 말고 아이에게 이해와 협조를 얻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혼자 잘 수 있게 된다면 아이는 독립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자신만의 방이 있다는 것에 대한 긍지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 또 스스로 자기 방 정리를 할 수 있는 습관을 길러주고 다른 방에 들어갈 때 노크하는 버릇 등 예절도 알 수 있게 되지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분리수면을 시작할때에는 아이가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야지 가능합니다. 물론 아이가 분리수거를 지금 바로 할 수도 있는데요. 아이와 애착관계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엄마나 아빠에 대한 분리불안이 있는 상태라면 분리수거 자체가 지금 현재는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는 같이 주무시다가 점차 함께 누워 있는 시간을 줄여나가시고 결국에는 아이가 방안에 혼자 있는 과정을 연습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이 굉장히 힘들 수가 있는데 극복하고 나면 신세계가 펼쳐지실 겁니다. - 어느정도 서로 대화가 될 무렵부터는 자기 방과 본인만의 침대를 만들어주세요. " 이제 ~~도 혼자 잘 수 있어야해. 엄마 아빠는 엄마 아빠 방에 있을게. 지금 혼자 잠을 자지만 엄마 아빠는 네가 부르면 언제든 달려올거야. 걱정하지 말고 푹자." 이런식으로 지속적인 심리적 안정을 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들에게 이제 다 큰만큼 스스로 - 자야한다고 알려주세요. - 그리고 아이들에게 낮 시간에 불안해하지 않도록 - 교육을 하시는 등 하며 아이들의 방을 아이들이 - 낯설지 않게 꾸며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분리수면을 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심리적 안정이 우선입니다. - 아이는 애착관계로 인해 부모와 떨어지지 않으려는 본성이 있습니다. -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에게 공포심이나 두려움을 극복하는 것입니다. - 분리수면시 아이를 함께 재워주시고 수면 전 아이에게 잠에서 깨어 무서운 경우 - 부모의 방에 다시 와도 괞찬음을 알려주어 안정적인 분리수면을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분리불안이 심하거나 부모가 아직 준비가 안됐다면 성급히 시도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러한 부모의 수면 분리 시도가 최소 2~3주는 지속되어야 효과가 조금씩 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소 3개월은 있어야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아이와 조금씩 조금씩 떨어져서 자는 연습을 해보시길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