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과 블록체인의 결합이 많은 이유가 있나요?
우리나라 많은 기업들이 블록체인에 진출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암호화폐가 유독 많은 것 같더라구요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현대BS&C가 개발한 사물인터넷 플랫폼 암호화폐인 에이치닥(Hdac)이 있고 세계적으로는 에스디체인, 아이오타, 월튼체인등 유망한 프로젝트들이 많은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사물인터넷이 도대체 어떤식으로 블록체인과 결합이 되는지가 궁금한데요, 사물인터넷이 블록체인과 결합하여 나타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나, 비용절감, 간편함등 다양한 이유들에 대해서 듣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사물인터넷과 블록체인의 결합이 많은 이유가 있나요?
- 삼성의 새로운 냉장고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냉장고의 식자재가 부족해지면 자동으로 마트에서 온라인주문을 하고 스피커는 단순히 노래만 재생해주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과 연결되어 내가 말하면 피자도 스스로 주문해 주는 기적을 보여주는 세상. - 즉, 기존 우리가 사용하던 가전이 인터넷과 결합하여 '연결' 되는 세상이 사물 인터넷의 핵심입니다. - 우리들이 사용하는 물건들이 외부와 연결된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엄청난 편의성인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해킹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앞으로 상용화를 앞둔 자율주행차만 보더라도 운전자의 제어에서 벗어나 외부의 제어에 의해 스스로 운행되어질 내 차량이 만약 해킹에 의해 마음대로 움직인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 차를 기꺼이 타시겠습니까?? 언제 오작동 할지도 모르는 차를 말이죠.- 이러한 문제로 인해 사물인터넷은 블록체인과 필연적으로 결합 할 수밖에 없습니다. 블록체인은 외부로부터의 해킹이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의 측면에서 사물인터넷의 단점을 너무나 완벽하게 보완할 수 있죠. - 또한 기존의 사물인터넷은 중앙집중식 서버를 통해 제어를 해야하기에 거대한 서버유지의 비용이 들지만 블록체인과 결합된 사물인터넷은 중앙집중식 서버가 필요없고 각 사용자들이 그 트래픽을 분산해 처리하므로 서버유지의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듭니다. - 그리고 중앙집중식 서버가 만약 해킹이라도 된다면 그 서버와 연결된 모든 사물은 먹통이 되어버리지만 블록체인 사물인터넷은 그럴 염려가 없기에 삼성과 LG 등 세계 가전을 선도하는 제조업체들에게는 반드시 사물인터넷에 블록체인을 녹이는 길은 반드시 가야할 길인 것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