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고려시대 중류층과 양민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고려시대의 신분은

귀족, 중류층, 양민, 천민

이렇게 네가지 계층으로 나누어진다고 하던데

귀족계층은 뻔히 알 수 있는 계층이지만

중류층과 양민은 조금 애매한 느낌이 듭니다

중류층과 양민은 어떤 기준으로 나눠졌으며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행복한북극곰
      행복한북극곰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류층의 경우는 지방의 관리와 상업 등의 분야에서 일을하였으며

      행정적인 업무를 보는 업무를 맡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양민의 경우 주로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였습니다.

      즉 중인의경우 귀족이 아닌 관리, 행정직

      양민의경우 농사를 짓는 계층으로

      보시면 편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는 신분은 크게 양인과 천인으로 구분되고, 양인은 다시 정호와 백정 등으로 나뉘었습니다. 정호는 관료, 군인, 향리 등 국가로부터 일정한 직역을 부여받은 지배 계층이었고, 문무 양반과 중류층으로 구분되었습니다.

      질문의 양민은 천인을 제외한 양반, 중류층, 평민(백정, 특수행정구역민)을 말하며, 중류층은 직역이 있는 중간 지배층에 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