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10.17

물건에 붙어 있는 바코드는 어떤 원리로 인식을 하는지요?

대형마트나 동네의 작은 마트에 가면 판매하는 물건에 보면 바코드라는 것이 있는데 스캐너로 찍으면 물건 이름과 가격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바코드는 어떤 원리로 인식을 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빛의 흡수와 반사 원리를 이용하여서 특정 제품의 특정 인식값을 넣어서 제품의 정보를 가지고 오는 것입니다. 레이저를 비추면 검은색 바코드는 빛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하면서 그 빛에 대한 정보룰 받아서 특정 인식값을 정해지면 그 제품에 대한 가격이 나오는 것입키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이진법의 표시로 숫자를 나타낸 것입니다.

    최초 바코드 체계의 핵심은 일종의 이진법 표시체계로 최초에는 네 줄로된 바코드로 세 줄짜리 기본 바코드인데, 검은 바탕에 4개의 흰 줄이 그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네줄 바코드인데 세줄 기본바코드라 해서 좀 헷갈릴 수 있지만 이중 1번 줄은 기준선이 되고 나머지 2,3,4번 줄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정해진 곳에 있는 경우 1, 그렇지 않은 것은 0을 나타냅니다.

    이런 줄을 컴퓨터가 읽어서 0과 1의 조합으로 데이터를 만드는 것입니다.

    현재는 이보다 훨씬 많은 줄을 만들어 좌우 선을 따라 QR코드까지 다양한 바코드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Barcode)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바코드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1.바코드 생성:

    먼저, 특수한 바코드 생성 소프트웨어나 기기를 사용하여 숫자나 문자 데이터를 특별한 패턴으로 변환합니다.


    2.바코드 스캐닝:

    바코드 리더(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하여 바코드를 스캔합니다. 이 스캐너는 바코드의 패턴을 읽고 광선을 통해 반사되는 바코드의 패턴을 해석합니다.


    3.데이터 해독:

    바코드 스캐너가 바코드를 스캔하면, 패턴을 숫자나 문자로 해석하고 이를 컴퓨터나 다른 시스템에 전달합니다.


    4.데이터 활용:

    해석된 데이터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주로 상품 식별, 재고 관리, 가격 확인, 문서 추적, 패키지 배송 추적 등에 사용됩니다.


    바코드는 여러 다양한 형태와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바코드의 패턴은 검은색 줄과 흰색 공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코드의 종류에 따라 정보 저장 용량과 사용 용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게에서 볼 수 있는 EAN 또는 UPC 바코드, QR 코드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에 있는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 변화하는 값에 작은 빛의 점들이 스캐너를 경유하여 바와 스페이스를 스쳐가면서 반사해 주는 것입니다. 바코드의 검은 막대 부분인 블랙바는 적은 양의 빛을 스캐너 안으로 반사해 들어가고 검은 막대의 중간 중간에 있는 하얀 스페이스 바는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해 냅니다. 반사된 빛의 양의 차이는 스캐너 안에 있는 빛 검출기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번역되고, 이렇게 번역된 신호는 특정한 문자와 숫자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 가지 조합으로 사용되는 2진수 0과 1로 바뀌어 집니다. 이렇게 바뀌어진 0과 1의 조합으로 문자 및 숫자를 판독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빛의 음영코드를 나눠서 읽는방식입니다

    삐빅 삼겹살입니다 이런 개념이아닌


    예시 삼겹살

    3(국가코드) 5(제조시간) 6(생산공장) 8(분류코드 정육) 17(삼겹살) 6(가격)


    이런 느낌으로 2진법 음영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코드 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barcode)는 검은색 막대(bar)와 흰색 공백(space)을 조합하여 문자와 숫자 등을 표현함으로써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이다.

    바코드를 이용하면 물건값을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판매량과 금액 등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집계하기 때문에 관리와 유통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스캐너로 바코드를 읽으면 검은색 막대는 대부분의 빛을 흡수하여 적은 양의 빛을 반사하고, 반대로 흰색 공백은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한다.

    포토센서는 이러한 반사율의 차이를 아날로그인 전기 신호로 바꾸고 다시 이를 디지털인 0과 1, 즉 이진법의 수로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0과 1의 조합에 따라 0부터 9까지의 십진법의 수를 알아낸다.


    바코드에 있는 정보를 읽어내는 시스템에는 스캐너, 디코더 및 컴퓨터가 포함되어 있다. 스캐너에는 레이저 빛을 쏘는 부분과 빛을 검출하는 부분이 있다. 바코드에 빛을 쏘면(①) 검은 막대 부분은 적은 양의 빛을 반사하고, 흰 부분은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한다.(②) 스캐너는 반사된 빛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번역되어 이진수 0과 1로 바뀌어 진다.(③④⑤) 이는 다시 문자와 숫자로 해석되어진다.(⑥) 이는 디코더에 의해 컴퓨터가 바코드를 수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 뒤에 호스트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검은색과 흰색의 막대 모양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숫자, 알파벳, 기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물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저장된 정보를 스캐너로 찍어 불러오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에 있는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 변화하는 값에 작은 빛의 점들이 스캐너를 경유하여 바와 스페이스를 스쳐가면서 반사해 주는 것입니다.

    바코드의 검은 막대 부분인 블랙바는 적은 양의 빛을 스캐너 안으로 반사해 들어가고 검은 막대의 중간 중간에 있는 하얀 스페이스 바는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해 냅니다. 반사된 빛의 양의 차이는 스캐너 안에 있는 빛 검출기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번역되고, 이렇게 번역된 신호는 특정한 문자와 숫자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 가지 조합으로 사용되는 2진수 0과 1로 바뀌어집니다.

    이렇게 바뀌어진 0과 1의 조합으로 문자 및 숫자를 판독한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하면 암호와 해독 과정을 거쳐서 인식을 하게 됩니다. 그 바코드가 바로 암호 이고 이러한 암호를 스캐너를 톡해 해독을 해서 정보를 기계가 알게 됩니다. 바코드가 인색되는건 바코드 형태를 보시면 검정색 직사각형 기둥들이 특정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는데 이러한 바코드에 스캐너가 빛을 쏘게 되는데 이때 검정부분은 흡수하고 흰 부분은 반사하는데 이를 스캐너 안의 디코드가 인식을 해 바코드의 암호를 해독하는 과정, 즉 제품을 인식하게 됩니다.

    그러나 qr 코드가 등장한 이후로 요즘은 바코드가 점점 사라지고 있는 추세 입니다. qr 코드가 훨씬많은 정보, 거의 무제한에 가까운 내용을 암호화할 수 있고 바코드보다 인식률이 좋기 때문에 qr 코드 사용율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