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쾌활한이구아나273
쾌활한이구아나27321.12.16

높은 산에서 밥이 설익는 이유?

높은 산에서 밥을 지으면 밥이 설익는다고 하는데요

어떤 이유로 그런건가요??

산이랑 밥짓는거랑 무슨 상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물질의 상평형 때문입니다. 상평형 그래프를 찾으면 가로축에 온도 세로축에 압력을 놓고 액체, 기체, 고체가 되는 점을 연결한 그래프 입니다.

    이 그래프를 보면 보통 압력이 높을 수록 더 높은 온도에서 액체가 기체가 된다고 나와 있습니다.

    산 위로 올라가면 기압이 떨어지게 됩니다. 압력이 떨어지므로 물은 1기압인 지표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끓게 됩니다.

    밥은 물이 끓어서 쌀을 익히는 과정입니다. 압력이 낮아지면 물이 더 낮은 온도에서 끓게 되므로 쌀이 충분히 익기 전에 수증기로 변해 버립니다. 이때 뚜껑 위에 돌을 올려 놓으면 수증기가 냄비 밖으로 세지 않아서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게 됩니다. 압력이 올라가면 더 높은 온도에서 물이 끓게 되므로 쌀을 충분히 익힐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푸른생쥐138입니다.

    고도가 높은 산에서 밥을 지어보면 밑바닥의 밥은 타고 위쪽은 설익는 경우를 많이 겪습니다. 조리 시간도 평지보다 오래 걸립니다. 그 이유는 고도에 따른 기압 저하에 있습니다.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은 낮아지며 화력도 평지보다 약해집니다. 끓는점도 낮아지기 때문에 물이 끓더라도 쌀이 익지 않은 상태에서 수증기로 다 빠져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높은 산에서 밥을 지을 때는 우선 평지에서보다 많은 물을 부어야 합니다. 물이 끓을 때는 쿡 세트 안의 기압을 올려 끓는점도 올라가도록 쿡 세트 뚜껑에 무거운 돌을 올려놓습니다. 물론 쿡 세트 뚜껑과 쿡 세트의 아귀가 잘 맞아야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밥이 설익었을 때는 뚜껑을 덮은 채 뒤집어놓고 약한 화력으로 뜸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저희가 평범한 집에서 해먹는 밥은 1기압으로 일정하여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밥이 균형지게 잘 익습니다.

    그러나 산에 올라갈수록(더 높은산일수록 더 심함) 기압이 낮아져, 밥을 할 때 공기가 열기를 누르지 못하여 설익게 됩니다.

    비슷한 예시로, 높은 산에 올라가면 이명이 들리거나, 비행기에 타면 빠르게 피곤한 경우가 있습니다.

    위 경우도 항상 일정하게 받는 기압이 낮아져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기발한사마귀264입니다.

    높은산에서는 기압이 낮아서 끓는점이 낮습니다. 그래서 산에서 밥을 하는 경우 설익게 됩니다. 압력솥을 쓰면 밥맛이 좋은 이유는 고압으로 밥을 하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