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3.28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는 언제 만들어진 것인가요?

우리나라 태극기는 흰색바탕에 한가운데에 진홍빚 양과 푸른빛 음의 태극을 그리고 사방 대각선상에 검은빛 사쾌를 두었습니다 지금쓰는 태극기는 조선시대에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아는데 현재 존재하는 가장오래전에 만든 태극기는 언제 만들어진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882년 5월 조미수호통상조약 당시 조선은 국기가 없었습니다

    고종의 명을 받들어 역관 이응준에게 국기를 제정할 것을 명했고, 이응준은 5월 14일에서 22일 사이에 미국 함정인 스와타라(Swatara)호 안에서 국기를 만들었습니다. 이 '국기'는 1882년 5월 22일 제물포에서 열린 조인식에서 성조기와 나란히 게양되었으며 작성된 최초의 태극기 도안이 바로 현존하는 최고의 태극기라고합니다.

    이는 1882년 9월 일본에 수신사로 파견됐던 박영효가 만든 것보다 4개월 앞선 것이라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는 1880년대의 '데니 태극기'라고 합니다.

    문화재청은 12일 열린 문화재위원회 동산분과 회의 결정에 따라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인 1880년대의 ‘데니 태극기’와 1919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 진관사 태극기’, 1941년 애국지사 백범 김구가 독립의지를 담은 글귀를 적은 ‘김구 서명문 태극기’를 국가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이날 발표했습니다.

    출처: 한겨레


  • 안녕하세요. 장효진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884년에 제작된 '주이 태극기' 입니다.

    '주이' 라는 이름을 가진 이가 입수해 미국으로 가져갔습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일부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데니 태극기는 현존한 실물 태극기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지만 제작 연대는 알수없으며 다만 추정하기를 데니가 1890년 미국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그 이전에 만든것이 분명하고 그 현존하는 실물 태극기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는 1880년대의 ‘데니 태극기’와 1919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 진관사 태극기’, 1941년 애국지사 백범 김구가 독립의지를 담은 글귀를 적은 ‘김구 서명문 태극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장 오래된 태극기는 제작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데니가 귀국할 때 가져간 것으로 알려져 있어 1890년 이전에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태극기는 1883년에 제정 공표 되었으며 이후 외교관계에서 조선과 대한제국의 독립성을 시각적으로 인식시키는데 중요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데니도 이런 점에서 태극기를 소지하여 가져 갔을 것으로 보입니다. 데니의 태극기는 크기가 세로 182.5 cm 가로 260 cm로 현존하는 조선 말부터 대한제국기의 제작된 태극기 가운데 가장 큽니다. 형태는 광목 두폭을 이어 박아 바탕을 만들고 양방은 홍색 음방과 4괘는 청색 천을 오려 바탕천 위에 덧붙였다고 합니다.깃대선을 기준으로 가로 상단에 감괘와 건괘를 하단에 곤괘와 이괘를 배치하였는데 이 당시 괘의 배치는 통일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깃대에 매다는 끈을 넣는 깃대선에는 단단하도록 머리카락을 넣어 제작하였습니다. 데니 태극기는 조선말 고종의 외교 고문으로 있었던 미국인 데니가 소장하고 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극기의 최초 모습은 조선 후기의 1882년 경성사대부속병원(경성대학교의 전신)에서 사용된 '삼*'입니다. 이 삼*는 지금의 태극기와 비슷하지만, 중앙의 태극 부분이 진홍색과 푸른색이 아니라 검은색과 흰색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이후, 대한제국의 무장기지로 사용된 '광복기'는 태극기와 비슷한 형태를 띄고 있으나, 중앙에 있는 태극 부분은 삼각형 형태였습니다.

    하지만, 태극기의 현재 모습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제작된 '독립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독립기는 1882년의 삼***와 1883년의 광복기 등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태극기의 현재 모습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1948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공식으로 채택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출처: https://m.yna.co.kr/view/AKR20220511108600005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는 조선 후기인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는 조선 후기인 1882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천안 독립기념관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당시 태극기의 디자인은 현재의 태극기와는 다르며, 태극문양의 구성도 약간 다른 것이 특징입니다. 태극기 역시 흰색 바탕에 검은색 사선이 다른 숫자로 새겨져 있었습니다.

    20세기 초, 태극기는 국기 중앙에 빨간색과 파란색 태극 기호를 추가하는 등 여러 가지 디자인 변화를 겪었습니다. 현재의 태극기 도안은 일제로부터 해방된 후인 1948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공식 채택하였습니다.

    태극기는 한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이며 한국 전통 철학의 중심인 음양의 원리를 나타냅니다. 붉은색(양)과 푸른색(음) 태극은 이 두 상반된 힘의 균형을 상징하고, 검은 줄무늬(건괘[하늘], 곤괘[땅], 감괘[물], 이괘[불])는 우주의 조화를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