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신중한홍여새160
신중한홍여새160
23.09.03

10개월 아기가 통잠을 못자네요

10개월 아이이고 처음부터 분리수면을 시켰는데 최근들어 통잠을 못자고 새벽마다 깨서 우네요 달래주다 나가면 다시울고 반복이에요 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천지연 보육교사blue-check
    천지연 보육교사
    어울누리
    23.09.03
    육아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분리수면을 시켜서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것입니다.

    아이는 불안함에 잠을 못자는 것입니다. 양육자가 자신 옆에 없기 때문에 무섭고 두렵기 때문에 통잠을 못자고 자주 깨는 것입니다.

    아이는 혼자 잘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았는데 일방적으로 분리수면을 시켜놓고 아이를 재웠다면 아이는 큰 공포감에 휩싸였을 것이고, 무서움에 벌벌 떨었을 것입니다.

    이것은 트라우마로 크게 작용되어 심리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즉, 안 좋은 경험을 했기 때문에 무서움으로 인한 불안감에 때문에 자주 잠에서 깨어 우는 것이니 아이의 불안감을 먼저 해소시켜 주시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시는 것이 먼저 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을 시키면 조금 놓아두는것도 좋습니다

    운다고 바로가기보다는 어느정도 놓아두면서 아이가스스로잠들수있는 시간을 주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에는 자아가 형성되면서 호기심이 왕성해져 본격적으로 탐투정과 수면 트러블이 생깁니다.

    호기심이 왕성해져 밤에 잠자는 것을 싫어하고 더 놀고 싶어하기도 하는데 이때 규칙적인 수면을 유지하지 못하면 아이의 발달이나 건강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주시는 것이 좋겠고요 낮 시간에는 매일 최소 2~30분 햇볕을 쬐며 신체활동을 하면 푹 잘 수 있고 낮잠은 최소 두 번 정도 재우되 총 3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잠을 자지 않으려고 고집을 부리더라도 단호한 태도로 수면 습관이 나빠지지 않도록 도움을 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기질적으로예민하면 통잠을 오랜기간못잘수도있습니다.

    아이의기질을우선살피면좋겠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9.03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통잠을 자지 못하고 자주 깨는 경우에는 낮잠을 최대한 줄이시고 취침전 손바닥으로 몸맛사지를 해주시면 혈액순환도 잘되며 잠도 푹 잘둣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0개월 아이의 경우 통잠을 자지 못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일정시기가 지나면 서서히 통잠을 자는 시기가 올 것입니다.

    이때까지는 아이가 깰때마다 안아주어 수면을 다시 유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통잠을 재우기 위해선, 잠을 재우기 전에 목욕을 시켜 보기 바랍니다

    목욕을 하고 나면 근육이 이완되서 쉽게 잠이 들 것입니다

    자주 깬다면, 성장통이 원인일 수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잠을 잘 못잘 때에

    백색소음이나 그런 것을

    틀어주시는 것도 아이에게 도움이 될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새벽마다 우는 이유는 성장통에서 오는 통증 때문에 울거나, 또는 이가 나오기 시작한다면

    생살을 뚫고 나오는 거라서 울 수 있으니, 치발기의 도움을 받거나, 성장통이면, 잠자기 전에 아기의 팔과 다리를 주물러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분리수면으로 인하여

    불안하여 그런 것 같습니다.

    아이를 토닥여주시는 등 하여 안정감을

    갖도록 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분리수면은 10개월이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아이와 애착관계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엄마나 아빠에 대한 분리불안이 있는 상태라고 하더라도 6개월 정도부터는 분리수면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지금 현재 당장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는 같이 주무시다가 점차 함께 누워 있는 시간을 줄여나가시고 결국에는 아이가 방안에 혼자 있는 과정을 연습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이 굉장히 힘들 수가 있는데 극복하고 나면 신세계가 펼쳐지실 겁니다.

    어느정도 서로 대화가 될 무렵부터는 자기 방과 본인만의 침대를 만들어주세요.

    " 이제 ~~도 혼자 잘 수 있어야해. 엄마 아빠는 엄마 아빠 방에 있을게. 지금 혼자 잠을 자지만 엄마 아빠는 네가 부르면 언제든 달려올거야. 걱정하지 말고 푹자."

    이런식으로 지속적인 심리적 안정을 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통잠을 자는것은 아이마다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부시기가 지나면 잠을 다시 못자는 시기도 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는 원래 잘 자다가도 못자고, 못자다가도 잘자고를 반복합니다.

    현재 20개월인 저희 아이도 아직도 자다가 깨는일이 수도 없이 많습니다..ㅠㅠ

    10개월이면 이앓이 일 수도 있으니 잇몸을 한 번 만져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