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심심한호랑이161
심심한호랑이16123.03.25

고려시대 무인정권이 몰락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고려시대 무인이 집권한 시기가 한동안 지속되었는데요

최씨 집권기 절정을 이루다 급속히 몰락했다고 기록되어있는데 그 이유가 무었이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5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170년부터 1270년 사이에 무신 세력에 의해 주도된 고려 왕조의 정권을 말합니다.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몰락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신정권은 1백 년간 존속되었는데, 변천 과정은 대체로 성립기(1170~1196, 혹은 전기라고도 함), 확립기(1196~1258, 혹은 중기라고도 함), 붕괴기(1258~1270, 혹은 후기라고도 함)로 구분하고 있다. ① 성립기는 처음 권력을 장악한 이의방(李義方) · 정중부를 거쳐 경대승(慶大升) · 이의민(李義旼)에 이르는 시기 ② 확립기는 최충헌(崔忠獻)으로부터 최씨 4대가 세습 집권한 60여 년간의 시기 ③ 붕괴기는 김준(金俊)과 임연(林衍) · 임유무(林惟茂) 부자가 집권하는 기간을 말한다.

    정중부 등은 1170년(명종 원년)에 정변을 일으켜 무신정권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그들 사이의 갈등은 그치지 않았다. 정변의 동지들을 제거한 정중부는 1179년(명종 9)에 장군 경대승에게 살해당했고, 경대승이 4년 만에 병사하자 이어서 이의민이 정권을 독점했다. 그러나 그는 1196년(명종 26)에 최충헌에게 살해당하였다.

    최충헌의 등장은 고려 무신정권에 일대 전환기를 가져왔다. 최충헌은 자신이 구축한 강력한 독재정권을 자손들에게 세습시킴으로써 4대 60여 년간의 최씨정권을 형성하였다. 최충헌을 이어 최우(崔瑀)가 독재체제를 더욱 강화했고, 다시 최항(崔沆) · 최의(崔竩)로 이어졌다. 그러나 최우가 집권한 지 10여 년만에 몽골의 침입이 있었고, 그 항전을 주로 최씨정권이 담당했기 때문에 많은 시련을 겪었다. 대내적으로 화전(和戰)을 둘러싼 대립 갈등과 전쟁으로 입은 사회경제적인 피폐는 최씨정권을 크게 약화시켰다. 특히 어린 나이에 집권한 최의는 어리석고 나약해서 집권 당시에 간신들의 참소가 성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뇌물 횡령이 자행되었다. 더구나 계속되는 흉년을 제대로 구제하지 못해 민심을 크게 잃었다.

    1258년(고종 45)에 별장 김준(金俊)과 대사성 유경(柳璥) 등이 최의를 제거하고, 최씨정권을 타도하였다. 그리하여 표면상 권력은 왕에게 돌아갔으나, 실권은 무신 김준 · 임연 · 임유무 등이 차례로 행사하였다. 김준은 최씨정권을 타도하고, 최씨정권 이래로 무신집권자가 지니는 교정별감(敎定別監)에 임명되어 정권을 좌우하다가 1268년(원종 9) 임연에게 암살당하였다.

    임연은 일찍이 김준의 천거로 낭장이 된 이후에 최의를 제거하는 데에 가담하였다. 더구나 김준을 제거한 후에는 왕의 폐립을 자행하는 한편, 교정별감에 임명되어 권세를 떨쳤다. 그러나 그는 1270년(원종 11)에 병사하였다. 아들 임유무가 그의 뒤를 이어 교정별감이 되었지만 같은 해 제거 당하였다. 그의 죽음은 1백 년간 유지되어 온 무신정권의 몰락을 뜻하는 것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무신정권


  • 무신정권은 고려 중기에 무신들에 의해 나라가 통치되던 시기와 정권을 말합니다.

    문신들에 비해 차별대우를 받았던 무신들이 소위 쿠데타인

    무신정변을 일으켜 통치한 시기입니다.

    시대는 1170년에서 1270년까지 거의 100년 동안 통치 기간입니다.

    갑자기 몰락한 이유로는

    정변으로 중앙권력을 장악하였지만,

    어떤 고려를 만들것인지에 대한 비전이 없이,

    정변을 일으킨 무신들마저 권력 나눠 먹기 잔치를 일삼으며,

    독재가 자행되고, 정방이 설치되어 독단의 인사행정이 이루어지며,

    도방, 삼별초, 마별초 등의 사적 무력 집단이 운영되며,

    서로를 살해하는 폭력과 무자비함으로 일관했습니다.

    또한 백성들의 삶은 전혀 돌보지 않으며,

    백성들의 토지마저도 수탈하면서 백성들로부터

    외면당하며 붕괴의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지만 배를 전복시킬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무신정권은 주변에 받쳐주는 세력들이 약하였고

    몽고의 압력 또한 컸기 때문에 견디지 못하고 몰락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최씨 집권기는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이 시기 동안 최씨 가문은 고려 정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들의 권력은 상당히 강력하였습니다.

    그러나 최씨 가문 내부에서도 권력을 두고 발생한 갈등이 있었습니다. 특히 최무선과 최경선 간의 갈등은 치열하였습니다. 최무선은 권력을 쥐고 있었지만, 최경선은 권력을 차지하려는 의지가 강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최씨 집권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에 더해, 외부적인 요인도 최씨 집권의 몰락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 초반까지는 훈민정음을 비롯한 문화적인 변화가 일어나면서, 신진사대부들의 부상과 무신정치 등 새로운 세력들이 등장하면서 고려 정치는 큰 변화를 겪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최씨 집권이 더 이상 대응할 수 없게 되었으며, 1392년에는 조선이 세워지면서 고려는 종식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몽고와의 항전이 길어짐에 따라 무신정권이 백성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왕정으로 다시 복고할 것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마지막 집권자 임유무가 피살되면서 몰락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무인정권이 뒷배경이 된 고려의 역사는 안으로는 권문세족을 억압하고,밖으로는 몽골의 간섭을 배격하는 공민왕의 정책이 결국 멸망하게되는 이유가 되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대내적으로 화전(和戰)을 둘러싼

    대립 갈등과 전쟁으로 입은

    사회경제적인 피폐는 최씨정권을

    크게 약화시켰다. 특히 어린 나이에

    집권한 최의는 어리석고 나약해서

    집권 당시에 간신들의 참소가

    성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뇌물 횡령이

    자행되었다. 더구나 계속되는 흉년을

    제대로 구제하지 못해 민심을 크게

    잃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무인정권이 몰락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군사력의 상실


    고려시대 무인정권의 몰락 이유 중에서 가장 큰 것은 군사력의 상실입니다. 고려 후기에는 몽골의 침략, 여진족의 침입 등 외적으로부터의 침탈이 잦았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군사력 확보가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이때 고려는 조선과 달리 병력 편성과 군사 훈련 등 군사적인 역량을 강화하지 못했습니다. 이로 인해 군사력이 약화되었고, 외적으로부터의 침탈을 막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2. 정치적인 불안정


    고려시대 후기에는 왕실과 귀족층 간의 권력 다툼이 심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치적인 불안정은 사대부 패권과 역적 패권 등 무인정권의 권력을 축소시키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정치적인 불안정은 인구의 이동과 생산활동의 감소, 재정적인 어려움 등을 초래하여 무인정권의 기반을 약화시켰습니다.


    3. 중앙집권화의 실패


    무인정권은 지방의 귀족층들이 지방에서의 권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고려시대 후기에는 신라나 발해 시대부터 이어져온 지방 귀족층의 권력을 억압하고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려는 노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실패하였고, 지방 귀족층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인정권의 권력은 더욱 약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고려시대 무인정권은 몰락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화 등을 추진하여 무인정권의 부재를 보완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최우가 후계자를 잘 성장시키지 못했습니다. 최우는 꽤 우수한 정치가 였던 것 같습니다. 인재를

    뽑을때 신언서판이라고 해서 사람을 가려 뽑았고 대몽항쟁 등을 이끈 막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후계자 자질이 형편 없었고 몽고의 세력이 팽창하던 시기여서 결국은 굴복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준이 끝까지 무신정권을 유지하려고 했지만 이미 흐름은 고려

    황제에게 권력이 복귀되고 있었지요. 무신정권을 끝으로 고려는 대원제국의 부마국으로 전락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