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20

인간의 체온유지 관련 질문 드립니다.

인간은 외부 온도에 맞추어 자신의 체온을 유지하는데

이때 체온 유지를 위해 신체 어디에서 열을 내는건가요?

그리고 체온 유지를 위해 칼로리를 소비하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0

    신체중에 발열을 담당한는 곳은 근육입니다.

    발열된 체온을 유지하는 곳은 피하지방이며

    발열된 따뜻한 기온을 온몸에 퍼트리는것은 혈액입니다.

    물론 발열을 하기위애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하여 운동을 하게되면 근육에서 열이 많이 나오게되고 열을 배출하기위해 땀이 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리의 몸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물질대사는 효소가 개입합니다.

    ​효소의 주성분이 단백질인데 이 효소의 활성은 체온에 아주 민감하여 체온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효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합니다.

    ​우리의 몸에서 일어나는 체온변화를 감지후 이를 조절하는 중추는 간뇌의 시상하부입니다.

    ​시상하부는 체내의 열 생산량과 피부 표면을 통한 열 방출량을 변화시키어 체온을 조절합니다.

    ​체온이 낮아질시 간뇌의 시상하부가 감지하고 물질대사가 촉진되어 몸 떨림과 같은 근육의 운동이 활발해져서 열 생산량이 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상하부는 체온, 수분균형, 대사조절에 작용하는 자율신경계 중추입니다. 신체의 생리작용을 조절하여 행동을 조절하고 균형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자율신경 조절: 내장활동과 몸기능을 조절하는 주된 조절중추입니다. 앞시상하부는 부교감신경을 흥분하거나 교감신경을 억제하며, 뒤시상하부는 교감신경을 흥분시키거나 부교감신경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뇌하수체 조절: 뇌하수체 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합성되고, 뇌하수체 전엽의 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생산된 호르몬에 따라 조절됩니다. 시상하부는 뇌하수체에서 생산되는 호르몬을 조절합니다. 시상하부에서 조절하는 뇌하수체 호르몬으로는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 성장호르몬억제호르몬, 프로락틴방출호르몬, 프로락틴억제호르몬, 코르티코트로핀분비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생식샘자극호르몬, 옥시토신이 있습니다.

    체온 조절: 시상하부 전 영역은 체온에 민감한 영역이 있습니다. 혈액의 온도 상승에 민감한 앞시상하부는 체온을 낮추는 역할을 하며, 혈액의 온도 저하에 민감한 뒤시상하부는 체온을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음식물 섭취와 수분대사의 조절: 복내측핵에는 포만중추가 있어 손상을 받으면 음식물 섭취량이 증가하여 과식과 폭식이 발생합니다. 외측 시상하부는 식욕중추가 있어 손상받게 되면 음식물의 섭취량이 감소하여 거식증이 발생합니다. 안쪽 시상하부에는 갈증포만중추가 있어 손상받으면 요붕증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체온의 감지는 간뇌의 시상하부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자율 신경과 호르몬을 통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열확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피는 0.9%의 염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세포의 삼투압을 지키기 위해서도 꼭 필요합니다. 사람의 체온은 37℃ 정도지만 0.5℃ 이상 변화가 생기면 간뇌에 있는 체온조절중추가 피부모세혈관과 호르몬을 조절해 체온을 정상으로 유지합니다


  • 인간의 평균 온도는 36.5도 입니다.

    이것은 내부에서 효소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온도를 기준으로 잡은 평균입니다.

    즉 우리 몸은 열 에너지 등을 이용해 체온을 유지하게 됩니다.

    그런데 주변 온도의 변화는 체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주변 기온이 높으면 만들어지는 열에너지를 발산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땀을 흘려서 수분이 증발하거나 혈관을 확장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체온 유지에는 당연히 칼로리가 소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