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나무777
나무77723.03.26

국제영화제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영화제는 어디서 시작되었는지, 유명한 영화제는 어떤것이 있는지 등드이 궁금합니다.

영화제의 시작은 어느 나라에서 시작되었는지, 어떤 영화제가 유명한지 등,

국제 영화제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전문가님들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초의 영화제는 1932년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열린 베니스 영화제입니다. 프랑스 칸 영화제는 1946년에 시작되어 빠르게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화제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51년 독일에서 시작되어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제를 꼽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칸 영화제

    선댄스 영화제

    토론토 영화제

    베를린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텔루라이드 영화제

    사우스바이사우스웨스트스(SXSW)

    트라이베카 영화제

    로카르노 영화제

    애틀랜타 영화제

    AFI 영화제

    BFI 영화제

    오스틴 영화제

    부산 영화제

    홍콩 영화제

    로테르담 영화제

    카를로비바리 영화제

    뉴욕 영화제

    레인댄스 영화제

    산세바스티안 영화제

    시애틀 영화제

    슬램댄스 영화제

    카탈루냐 영화제 등이 주요 영화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칸 영화제는 1930년대 후반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부의 개입으로 정치색을 강화했던 베니스 국제영화제에 대항하기 위해 프랑스 정부의 지원을 받아 개최된 것이 시작이며 1939년 개최 예정이었으나 2차세계대전의 발발로 중단되었고, 종전 후 1946년 정식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1948년부터 1950년까지는 예산 문제로 개최되지 않았고, 1951년 다시 개최되었습니다.

    1968년 프랑스 파리에서 68운동이 일어나 루이 마르, 프랑스와 트뤼포, 클로드 베리, 장가브리엘 알비코코, 클로드 를루슈, 로만 폴란스키 , 장 뤽 고다르 감독들의 요청으로 영화제가 중단되는 사태가 일어났고, 이때 초청 예정이었던 작품들은 나중에 칸 회고전에서 회고전 형식으로 재상영되었고 그 후 중단된 일은 없습니다.

    국제영화제 종류에는 부산국제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제 영화제의 역사는 1920년대 초반에 시작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국제 영화제는 베니스 영화제이며, 1932년에 시작되었습니다. 이후에는 다양한 국제 영화제들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가장 유명한 국제 영화제 중 하나는 칸 국제 영화제입니다. 이 영화제는 1946년에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매년 열리며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영화제 중 하나입니다.

    또한, 베를린 국제 영화제도 유명합니다. 이 영화제는 1951년에 시작되었으며, 매년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열립니다.

    그 외에도, 토론토 국제 영화제, 뉴욕 영화제, 밴쿠버 국제 영화제, 도쿄 국제 영화제, 상하이 국제 영화제 등 전 세계에 다양한 국제 영화제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국제 영화제들은 세계 각국의 영화제작자들이 자신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무대이면서, 영화 산업의 발전과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들 영화제는 많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영화 작품들을 소개하고, 세계 각국의 문화와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칸영화제 [-映畵祭, Cannes Film Festival]

    프랑스 남부의 휴양도시 칸에서 개최되는 국제영화제.

    원어명 The Canne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국가 프랑스
    시작연도 1946년
    행사시기 2004.05.12~05.23 보통 매년 5월 중순
    행사장소 뤼미에르극장 등
    주요행사 영화 상영, 토론회, 트리뷰트, 회고전

    프랑스 남부의 휴양도시 칸(Cannes)에서 매년 5월 개최되는 국제영화제로 베네치아국제영화제, 베를린국제영화제와 함께 세계 3대 영화제이다. 1932년 베네치아영화제가 개최되자 프랑스 정부에서는 1939년 9월 1일 제1회 개최를 목표로 칸영화제를 기획하였으나 히틀러의 폴란드 최후통첩으로 인하여 영화제는 연기되었고, 1946년 9월 20일 임시정부의 승인 아래 18개국의 영화를 모아 영화제를 개최하였다. 그후 1948년부터 1950년까지를 제외하고는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1951년부터 영화제 기간을 5월로 옮겨 2주일간의 행사기간을 가지게 되었다.

    칸영화제는 영화의 예술적인 수준과 상업적 효과의 균형을 잘 맞춤으로써 세계 영화의 만남의 장으로서 명성을 얻게 되었고,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감독들이 많이 참여하여 세계적인 영화산업의 집결지가 되어 갔다. 또한 영화 상영 외에도 토론회·트리뷰트·회고전 등 많은 문화예술행사를 병행하고 있다. 칸에서 작품이 상영되려면 영화제 시작 전 12개월 안에 만들어진 작품이어야 하며, 다른 어떤 행사에서도 경쟁이나 전시가 없어야 하며, 단편은 15분을 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요즘은 그 조건들이 많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베를린국제영화제 [-國際映畵祭, Internationale Filmfestspiele Berlin]

    독일의 베를린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제영화제.

    국가 독일
    시작연도 1951년
    행사시기 2004.02.05~02.15 보통 2월 중순
    행사장소 독일 베를린의 포츠담광장 일대
    주요행사 400여 편의 장단편 영화 상영, 심포지엄, 유럽영화 회고전, 아동영화제

    1951년 동서화합을 기치로 내걸고 당시 분단 상태에 있던 독일의 통일을 기원하는 영화제로 시작되었다. 베네치아(이탈리아)·칸(프랑스)·모스크바(러시아연방)와 더불어 국제영화제작자연합에서 공인한 A급 영화제의 하나로, 매년 2월 중순에 약 10일간에 걸쳐 개최된다. 독일의 국영 베를린영화사가 주관하고, 500여 명의 진행요원이 행사를 지원한다.

    매년 약간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보통 개막작을 시작으로 전세계에서 초청된 400여 편의 장단편 영화가 상영되는데, 상영작들은 다시 공식 경쟁부문을 비롯해 포럼과 파노라마, 유럽 영화, 아동 영화제 등 별도의 섹션으로 나뉘어 포츠담광장 일대의 10여 개 상영관에서 상영된다. 또 시사회를 비롯해 독일 영화의 전망, 베를린 영화학교가 주최하는 심포지엄, 유럽 영화 회고전 등 해마다 별도의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최우수작품상인 금곰상[金熊賞], 감독상인 은곰상, 심사위원 대상, 남녀 연기상, 예술공헌상, 최우수 유럽영화상 등 여러 부문에 걸쳐 시상이 이루어지며, 10명의 심사위원단이 공식 경쟁부문 출품작 가운데서 부문별로 선정해 시상한다.

    2002년의 경우 2월 6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되었는데, 총 23편의 공식 경쟁부문 출품작 가운데 금곰상은 일본 미야자키 하야오[宮崎駿]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千と千尋の神隱し)》과 영국 폴 그린그래스 감독의 《피의 일요일 Bloody Sunday》이 공동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심사위원 대상은 독일 영화 《할베 트레페 Halbe-Treppe》가, 감독상은 《월요일 아침 Lundi Matin》의 오타 이오셀리아니(프랑스)가 각각 선정되었다.

    한국에서는 1958년 제8회 영화제 때 동아영화사의 《시집가는 날》을 처음으로 출품한 이래 거의 매년 극영화와 문화영화를 출품하고 있다. 1961년에는 강대진(姜大振) 감독의 《마부》가 특별 은곰상을, 1962년에는 전영선이 《이 생명 다하도록》에서 아동특별연기상을 수상하였고, 1994년에는 장선우(張善宇) 감독의 《화엄경》이 특별상인 알프레드 바우어상을 수상하였다. 또 2002년에는 김기덕(金基德) 감독의 《나쁜 남자》와 한일 합작영화 《KT》(감독 사카모토 준지:阪本順治)가 경쟁부문 초청을 받았는데, 김기덕 감독은 2000년 《섬》, 2001년 《수취인 불명》에 이어 이 영화제를 통해 한국 최초로 3년 연속 국제영화제 진출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베니스 국제 영화제 [-國際映畵祭, Venezia Film Festival]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매년 8월 말∼9월 초에 개최되는 영화작품전.

    국가 이탈리아 베네치아
    시작연도 1932년 5월
    행사시기 2003.08.27~09.06 보통 매년 8월 말∼9월 초

    예선을 통과한 세계 각국의 영화가 상영되고, 각국의 배우·감독·프로듀서·기자 등이 참석하여 기자회견·리셉션 등이 2주간에 걸쳐 화려하게 열린다. 1932년에 시작되어 국제영화제로서는 가장 오랜 전통을 지니며, 칸영화제와 쌍벽을 이룬다. 최우수 작품에는 그랑프리(산마르코 金獅子賞)가 수여되고 남우상(男優賞)·여우상 등 각 부문상이 시상되었으나 운영상 분쟁이 일어나 1969년부터는 콩쿠르 형식을 지양하고 모든 상을 없앴다. 그러나 시상제가 없어지면서 활기가 없어지고 급기야 중단되는 사태까지 발생하자 1974년부터 다시 시상제도를 부활하였다.

    한국에서는 1961년 제22회 영화제 때 《성춘향》(申필름)을 출품한 이래 해마다 극영화와 문화영화를 출품하여 왔으나 별다른 빛을 보지 못하다가 1987년 임권택(林權澤) 감독의 《씨받이》로 강수연(姜受延)이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2002년 제59회 영화제에서는 중증 뇌성마비 장애인과 사회 부적응자의 사랑을 그린 영화 《오아시스》의 이창동(李滄東)이 감독상을, 문소리(文素利)가 신인배우상을 각각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