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완벽한말똥구리64
완벽한말똥구리6423.10.10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는 다는 건 결국 세포도 스트레스를 받는 다는 것과 똑같은 것인가요?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그 영향으로 위경련이 일어난다던지 대장에 변비가 걸린다던지 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또 암도 스트레스와 관련이 많은데요.

사람의 몸은 세포와 미생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세포 자체가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아 질병을 악화시킨다던사 발병 시킨다고 이해해도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스트레스는 실제로 세포와 질병 사이의 관련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연구들은 스트레스가 세포 수준에서 다양한 생리적인 반응을 유발하며, 이러한 반응이 질병의 발병과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신체의 호르몬 및 미생물의 균형, 면역체계, 염증 반응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만약 스트레스 반응이 지속되거나 과도하면, 이는 세포와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면역체계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염증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질병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트레스는 세포와 미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질병을 악화시키거나 발병시킬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는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스트레스 호르몬은 면역 체계를 억제하고, 염증을 유발하며, 세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트레스(영어: oxidative stress)는 활성산소의 생성과 반응성 중간생성물을 해독하거나 활성산소로 인한 손상을 복구하는 생물학적 능력 사이의 불균형을 반영한다. 세포의 정상적인 산화환원 상태의 교란은 단백질, 지질, DNA를 포함한 세포의 모든 구성 요소들을 손상시킬 수 있는 과산화물 및 자유 라디칼의 생성을 통해 독성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세포 호흡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DNA의 염기 손상과 DNA 가닥을 파괴시킬 수 있다. 염기의 손상은 대부분 간접적이며 생성된 활성산소, 예를 들어 O2−(초과산화물 라디칼), OH (하이드록실 라디칼) and H2O2(과산화 수소)에 의해 일어난다. 또한 일부 활성산소는 산화환원 신호전달에서 메신저로 작용한다. 따라서 산화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세포 신호전달의 메커니즘을 방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