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거대한   명군  1623
거대한 명군 1623
24.12.31

무안 공항이 조류 서식지 등으로 문제가 있었다고 하는데 맞나요

무안공항이 다른데와 다르게 조류 서식지 등으로 사실상 문제점을 있었다 라고 전해지고 있는데 맞는지 궁굼합니다 혹시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냉철한지어새50
    냉철한지어새50
    24.12.31

    예 그렇습니다 사실 무안공항 근처에는 철새 도래지가 있는게 사실이고 보호 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공항의 조건에는 미흡한게 사실이다 라고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무안 공항은 조류 서식지와 관련된 문제로 여러 차례 논란이 있었습니다.

    무안 공항이 건설되기 전에 해당 지역은 다양한 종류의 조류가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계였는데 이로 인해 공항 운영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공항 주변의 습지와 갯벌 지역은 철새들의 중요한 서식지였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환경적 고려가 필요했습니다.

    조류 서식지와 관련된 문제는 공항 건설 초기부터 꾸준히 제기되었으며 조류와의 충돌 위험 등으로 안전 문제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삼가 고인분들의 명복을 빌어봅니다.

  • 조류 서식지가 아닌 곳이 서울 수도권을 제외하면 거의 없을 거 같은데요 그리고 오늘 뉴스에 보니까 그거는 흔한 일이라고 합니다 문제는 엔진 고정이거든요 조류가 빨려 들어갔다고 해서 셧다운 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합니다

  • 우리나라 공항은 대부분

    도심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그이유는 비행기 소음때문인데요 비행기 소음이

    심하면 주민들에 민원과

    보상의 문제가 있기때문에

    그런 선택을 하게 되었다고기사에서 봤 습니다

    인천공항도 철새도래지가

    가깝고 김해공항도 그런걸로 알고 있어요

    그래서 조류퇴치반이

    따로 있습니다

    새로인한 사고는 작게나마

    일어나지만

    이렇게 큰 사고는

    처음인것 같습니다

    활주로 기술도 새롭게

    정비해야 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무한 공항은 서해안 철새 도래지와 가까운 곳이어서 공항 건설 초기 부터 관련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고 합니다. 무안 공항 인근의 전남 무안군 현경면 운남면에선 1만 2000여 마리의 겨울 철새가 관촬되었다고 합니다.또한 이 지역에는 113.34KM에 이르는 대규모 무안 갯벌습지 보호 구역등이 조성 되어 있어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 역활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