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24.01.30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대부분의 식물이나 나무들은 광합성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잖아요.

그런데 이런 식물들과 다르게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합성이 아닌 다른 곤충 등을 채집하면서 에너지를 얻는 식물들의 경우네는 따로 광합성을 하지 않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식물들은 광합성을 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지만 다른 식물에 기생해서 사는 식물들이 일부 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도 있습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를 획득하거나 다른 생물로부터 영양소를 흡수하여 생존합니다.

    예를 들면, 카노머스식물들은 작은 곤충이나 다른 작은 동물을 먹는 방식으로 영양소를 얻습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흙에서 영양분을 흡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곤충을 먹어 에너지와 영양소를 보충합니다. 유명한 카노머스 식물로는 베네또니아 귀신자리 속죽죽등이 있습니다.

    또한, 일부 식물은 부식성 뿌리를 통해 다른 식물이나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소를 흡수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영접뿌리는 다른 식물에 의존하여 생존하며, 그들의 뿌리를 이용해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합니다. 광합성은 식물이 생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며, 대부분의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은 존재 합니다. 광합성을 하는 이유는 아시다시피 태양의 빛에너지와 수분을 활용해 포도당을 만들어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입니다. 이런 광합성을 하는 식물내 구조를 엽록체 라고 하는데 이런 엽록체가 없는 식물들이 있습니다. 식물들 중에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식물의 경우는 이러한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않습니다. 또한 파리지옥과 같은 식충식물역시 곤충을 통해 영향분을 얻으므로 엽록체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있습니다. 구상난풀, 겨우살이, 미국실새삼, 새삼 등등이 다른 식물에 기생해서 살기 때문에 광합성을 하지 않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합성을 하지않는 식물들은 꽤 다수 존재하고, 엽록체가 적거나 없는 상태인경우가 많다고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연곤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 중 대표적인 예로 호스트로 부터 영양을 뺏는 기생(패러사이트) 식물이 있습니다.

    이 식물은 뿌리를 통해 호스트로 부터 영양을 빼앗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도 있습니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생식물입니다.


    기생식물은 다른 생물체에 기생하여 영양분을 얻는 식물입니다.


    겨우살이, 흡혈식물, 맥각 등이 대표적인 기생식물입니다.



    겨우살이는 나무에 기생하여 수액을 흡수하여 살아갑니다.


    흡혈식물은 곤충이나 동물의 피를 흡수하여 살아갑니다.



    맥각은 벼에 기생하여 쌀을 맥각으로 변질시킵니다.



    부생식물입니다.


    부생식물은 죽은 생물체에서 영양분을 얻는 식물입니다.


    썩은 나무나 동물의 사체에서 살아갑니다.


    대표적인 부생식물로는 버섯, 곰팡이 등이 있습니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은 엽록체가 없기 때문에 녹색을 띠지 않습니다.



    흰색, 노란색, 붉은색 등의 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은 광합성을 하는 식물에 비해 생존력이 떨어집니다.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생물체에 의존해야만 살아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엽록체가 있어야 가능한 광합성 작용 쉽게 말해 광합성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 에너지와 뿌리로부터 끌어 올린 물, 공기 중에서 홍수한 이산화탄소의 합성 과정을 통해 포도당을 만들어내는 작업입니다. 이 포도당이 변하여 지방과 단백질, 과당 등의 영양분을 만들고 이것이 식물의 줄기와 잎, 꽃과 열매를 이루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광합성 작용이 이루어지는 곳이 바로 식물의 세포 안에 있는 엽록체 인데, 안타깝게도 어떤 식물들은 이 엽록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데서 문제가 시작됩니다. 그렇다면 엽록체가 없어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 수 없을 때, 식물은 생존을 위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요? 기생식물도 다 같은 건 아니야 우선, 다른 식물로부터 영양분을 얻어 살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는데요, 실제 변형된 뿌리를 이용해 다른 식물로부터 양분을 빨아들이는 식물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을 '기생식물(parasitic plant)이라 합니다. 하지만 숙주의 관다발에서 모든 영양분을 흡수하는 새삼(Cuscuta japonica)이나 더부살이에 비해. 겨우살이~iscum album var. coloratum)는 일부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얻기도 하는데 이러한 생태의 자이에 따라 완전 기생식물과 일부 기 생식물'로 나누기도 합니다. 완전 기생식물 중에는 특정 식물(콩과)에만 기생하는 새삼과 달리, 모든 식물을 숙주로 삼아 왕성하게 번식한 끝에 마침내 숙주 식물을 고사시 키고 마는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같은 것도 있습니다.

    일부 광합성 작용을 하는 겨우살이 초종용'이라고도 불리며 바닷가 사철쑥에 기생해 자라는 갯더부살이(Orobanche coerulescens), 쑥에 기생하는 백양더부살이(Orobanche filicicola) 등은 이름에서 어렵지 않게 기생식물임을 짐작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물론 억새 뿌리에 기생하는 야고(Aeginetia indica)처럼, 이름만으로는 짐작이 어려운 기생식물도 있는데요~ 최근 항암효과와 각종 성인병, 백혈병 치료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지면서 무분별한 채취로 수난을 겪고 있는 겨우살이. 참나무와 자작나무 등의 가지에 기생해, 한 겨울에도 푸른 잎을 띠며 자라는 겨우살이는 대표적인 일부 기생식물'의 하나입니다.

    부생식물인 수정난풀, 구상난풀 다른 식물에게 기대어 살아가는 방법 외에, 각종동식물의 사체나 배설물로부터 영양분을 얻어 성장하는 식물이 있는데, 이러한 식물을 부생식 물(saprophyte)'이라고 합니다. 부생식물들은 대체로 높은 산 깊은 숲 속, 음지의 낙엽 밑에서 자라는데, 그래서 뿌리와 줄기, 잎이 매우 연약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네요~ 봄에서 여름 사이, 은백색 꽃을 피우는 수정난풀(Monotropa uniflora)과 황백색 꽃을 피우는 구상난풀(Monotropa hypopithys)은 대표적인 부 생식물들입니다.

    광합성만으로는 양분이 부족하다면? 한편, 식물이 잘 자라려면 질소와 인 등의 영양분도 필요한데, 광합성이나 토양환경만으로 이러한 양분이 부족할 경우 다른 대안을 모색하는 식물도 있는데요, 바로 곤충을 잡아먹어 영양분을 보충하는 방법입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파리지옥이나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물가에 사는 통발(Utricularia japonica)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식중식물 인데 이러한 식물들은 기본적으로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곤증을 먹지 못한다고 해서 죽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성장이 더뎌질 뿐이라고 하네 요. 대부분 한곳에서 자라는 식물의 특성상, 광합성은 식물의 성장에 대단히 중요한 작용임에 분명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같은 방식으로 살아 가지 않듯. 식물 또한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는 것 아닐까요.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이 있다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