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자연실업률이 상승하는 필립스곡선이 무슨 뜻인가요
자연실업률이 상승하는 필립스곡선이 무슨 뜻인가요?
단기에는 물가와 실업률이 서로 반비례하는데 장기에는 수직의 필립스곡선이 수직이고 여기까지는 이해하는데
자연실업률이 상승하는 필립스곡선이 상방(우측)이동 한다는 것도 이해가 안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필립스곡선은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간 상충관계를 보여 주는 곡선으로
보통 이 곡선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더 높은 물가상승률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명목임금은 물가와 직결되어 있고 명목임금 인상분이 제품가격에 반영된다고 할 때, 명목임금 상승률이 높아질수록 물가상승률도 높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며 이러한 논리 하에서 필립스가 당초 발견한 실업률과 명목임금 상승률 간의 부(-)의 상관관계는 자연스럽게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간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꾸어 해석할 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필립스 곡선은 '명목임금인상율'과 '실업률'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론을 말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GDP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실업률은 감소하게 되는 현상을 설명하게 되요.
필립스 곡선 이론은 1970년대 석유파동으로 인해서 기존의 필립스 곡선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 스테그플레이션을 설명하기 위해서 더 개선된 것이 '기대부가 필립스 곡선'이라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