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의료 보험

선한박새76
선한박새76

병원 입원실중 기준병실이 있는곳과 없는곳의 차이점이 뭔가요?

우체국 의료 실손보험료를 청구하려는데 입원실 계산을 기준병실요금과 현병실요금의 차액의 50%를 준다고 하는데요.입원한 병원은 상급병실과 다인실만 있다고 합니다.이럴때는 기준병실요금 계산방법의 기준이 뭔가요?

또 병원에 기준병실이 있는곳과 없는곳의 차이점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재철CFP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가장 손쉽게 알수 있는 방법이 비급여 발생여부입니다.

      1. 기준병실요금은 병실에 대한 비급여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상급병실에 입원하시면 비급여 금액이 발생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기준 병실은 흔히 다인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의원, 병원급은 해당의료 기관의 병상수 50% 이상에 해당하는 병실, 종합병워은 70%이상에 해당하는 병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