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빛을 내는 행성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은데도 우주는 왜 새까맣게 보일까요?

태양은 우주에서 빛을 내는 행성 중에 너무 보잘 것 없는 밝기를 보인다던데요.

우주 초기 퀘이사는 태양보다 그 밝기가 600조 넘게 밝다던데요.

그렇게 밝은 별들이 많은데도 우주는 왜 새까맣게 보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조한낙타 245
      건조한낙타 245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엄청나게 많은 행성들이 빛을 내고 있는데 그에 비해서 우주는 더더욱 크고 검기 떄문에 효과를 많이 못본다고 보시면 되겟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가 새까맣게 보이는 이유는 '올버스의 역설'이라는 문제로, 이는 빛이 우주를 통해 여행하는 동안 여러 요인으로 인해 우리가 그 빛을 보지 못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첫째, 우주는 무한하게 넓고, 별들 사이의 거리도 엄청나게 멉니다. 따라서, 별에서 발산되는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기까지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며, 그 과정에서 빛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흩어지게 됩니다.

      둘째, 우주는 계속해서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먼 별에서 나온 빛은 '적색편이'라는 현상을 겪게 됩니다. 즉, 빛의 파장이 늘어나면서 빛의 색깔이 붉은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에는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범위를 벗어나게 됩니다.

      셋째, 우주에는 먼지와 가스 등이 존재하며, 이들은 별빛을 흡수하거나 흩뜨리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별빛이 약해지거나 다른 방향으로 흩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우주는 새까맣게 보이게 됩니다. 이는 '올버스의 역설'이라는 문제로, 이 문제는 19세기 천문학자 헤인리히 올버스가 제기한 것으로, 무한한 우주에는 어디를 보든 별이 있어야 하지만 왜 어둠인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는 새까맣게 보이는 이유는 주로 우주에는 빛을 반사시킬 물질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대기 중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먼지나 기타 입자들이 있어서 하늘이 푸르거나 밤하늘이 어두운 것과는 달리, 우주는 거의 빛을 반사시킬 물질이 없어서 새까맣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대부분에 대한것은 평균입니다

      어둡다고 하는것도 온도에대한것도 평균적인것이며

      그 평균값으로 봤을때 어둡고 추운것입니딘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가 왜 새까맣게 보이는지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로, 빛은 행성과 다른 천체들 사이를 여행하는 동안에도 소멸하거나 흩어지기 때문입니다. 빛은 직진하며,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기까지의 거리가 아주 멀기 때문에 많은 빛이 우주의 빈 공간에서 사라지거나 흩어집니다.

      둘째로, 우주는 광선이 없는 빈공간으로서, 우주의 대부분은 어둡습니다. 별과 행성은 빛을 발하는 천체이지만, 그 양이 우주의 크기와 넓은 영역에 비해 아주 작기 때문에 우주 전체적으로는 어둡게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지구에 있는 한 우주의 일부분만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우주 전체를 볼 수 없습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는 매우 한정된 영역이며, 그 외의 넓은 우주는 우리로서는 볼 수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우주에서 빛을 내는 수많은

      별들 중 하나이며 그 밝기는

      600조 배 이상 밝은 퀘이사와

      비교하면 매우 보잘것없습니다.

      태양은 지구로부터

      약 1억 5천만 킬로미터 떨어져 있습니다.

      퀘이사는 태양보다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그 거리는 수십억 광년에 달합니다.

      빛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약해지기 때문에

      퀘이사의 엄청난

      밝기에도 불구하고 지구에서

      보면 그 빛은 매우 약하게 느껴집니다.

      실제로 밤하늘에 보이는 대부분의 별들은

      태양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으며

      그 빛은 퀘이사보다 훨씬 더 약합니다.

      우주 공간에는 먼지와 가스가 존재하며

      이들은 빛을 산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빛이 산란되면 방향이 바뀌고 약해지기

      때문에 먼 곳에서 오는 빛은 더욱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특히 은하수는 먼지와

      가스가 많기 때문에

      은하수 내부의 별빛이 산란되어

      밤하늘이 어둡게 보이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우주 공간에는 빛을 흡수하는

      물질도 존재합니다.

      빛이 흡수되면 더 이상 우리 눈에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흡수된

      빛은 우주를 더 어둡게 만듭니다.

      인간의 눈은 극도로 어두운 환경에서

      모든 빛을 감지할 수 없습니다.

      밤하늘에는 매우 어둡게 빛나는

      별들이 존재하지만 인간의 눈은

      그 빛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주가

      더욱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 중 하나이지만 우리 눈에는 보잘 것 없는 밝기로 보입니다. 이는 태양이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태양의 빛은 우리 눈에 맞춰져 있어서 우리 눈에는 자연스럽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 눈에 맞춰진 빛의 양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기 때문입니다.

      우주 초기에는 태양보다 밝은 별들이 많았지만 이들은 모두 멀리 떨어져 있어서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우주는 넓고 빈 공간이기 때문에 빛을 내는 별들의 밝기가 우리에게 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우리 눈에는 밝은 별들의 빛이 모두 모여서 새까맣게 보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주는 빛을 반사하는 물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새까맣게 보입니다. 지구는 태양의 빛을 반사하는 물체들로 가득 차 있어서 우리 눈에는 밝게 보이지만 우주는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주는 매우 넓고 빈 공간이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빛이 모여서 새까맣게 보입니다. 빛은 우주에서 이동하는 속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멀리 떨어진 별들의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우리 눈에는 밝은 별들의 빛이 모여서 새까맣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렇게 우주는 매우 넓고 빈 공간이기 때문에 빛을 내는 행성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아도 우리 눈에는 새까맣게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수많은 별이 있고 각각의 별들이 밝은 빛을 내고 있지만 이 별들이내는 빛으로 우주를 모두 밝히기에는 우주가 너무커서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대기가 있기 때문에 태양빛이 대기와 산란되기 때문에 파랗게 보이지만 우주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검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발게 빛나는 별들도 우주의 크기에 대비했을때 점정도밖에 포션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우주의 크기는 그 누구도 가늠하기 어려울정도로 큰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