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믿소사
믿소사22.02.11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 왜 한파가 더 생기나요?

지구 온난화로 더워지고 있는데, 겨울이면 예상치 못한 한파가 더 자주 찾아온다고 합니다.

여름에는 더 덥기도 한데, 겨울에도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더 더워져야하는 거 아닌가요?

지구 온난화로 더워지는데, 한파가 더 극심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적도 지방은 북극 보다 더 따뜻해서 기온차가 더 큽니다.

    이러한 기온 차는 자연스럽게 해소되려고 합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기온이 상승하였고,

    찬 공기의 남하를 막아주는 제트기류가 약해지면서,

    북극의 찬 공기가 남쪽으로 쏟아져 내립니다.

    즉 온난화로 상승한 기온을 해소하기 위해 차가운 바람이 불게 되는 것입니다.


  •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후 변화가 일어나면서 한 지역에서는 더 더운 여름과 더 따뜻한 겨울을 경험하게 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추운 겨울이 더욱 극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극지방의 공기가 남쪽으로 이동하는 '극저기압' 현상이 강해져서 발생합니다. 이 공기는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차가운 공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파와 같은 추위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후 변화가 일어나면서, 온난화가 일어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모두 다양한 기후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지구 온난화가 계속 되가는 중입니다. 그러나 자꾸 겨울 한랭지역이 생깁니다

    계절은구분이 되지만나 실제로 우리가 피부로 느끼는 건 겨울과 여름이 대부분인 시대가 되 버린 느낌이 되면서도

    고냉지 의 경우 아예 봄과 가을은 매우 짧아서 정말로 있는지 없는지 조차 구분이 안갑니다

    여름에도 갑자기 한 낮 기온이 15도 밖에 안 되는 서늘한 날이 몰려 오기도 하는 날이 있기도 할 겁니다.

    꼭 더위만 오는것이 아니라 6월에도 높은 산지를 접한 해안가 같은 곳에선 우박이 솥아지기도 하는

    기상 이변이 생기기도하는것은 아마지구 온난화때문이라고 예상합니다

    같은 경우로 다소 높은 산지는 7월에도 우박이 쏟아 지기도 하는 이변이 생깁니다 .이런 게 다 지구 온난화에서 나오는 기상 이변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래서우리는 지구온난화를 막기위해 이산화 탄소배출을 줄이는 노력을 해야 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한파는 겨울에 추운 시베리아 기류가 내려와 생깁니다.

    우리나라는 이 시베리아 기류를 제트기류라는 것이 어느정도 막아주기 때문에 러시아 만큼 춥진 않습니다.

    제트기류는 대기의 온도차에 의한 공기의 이동에 의해 강해집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가 되면 지구 전체의 온도가 올라가고, 이렇게 되면 온도차가 적어지고 제트기류가 약해집니다.

    따라서 한파가 심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