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MPark
MPark23.11.22

비누를 거의 다 쓰면 왜 거품이 잘 안나나요?

비누를 거의 다 써서 작아지면 거품이 잘 안나 잖아요. 세정력도 많이 떨어지고

면적이 작아서 그렇다고 생각했는데

평소보다 2~3배 문질러도 거품이 잘 안나 더라구요.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작아진 비누 거품이 잘 나게 하는 방법도 있나요? 아니면 그냥 버려야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3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조해성으로 수분을 흡수한 비누는 증발 현상도 함께 일어나는데요.

    습한 욕실 환경에서 수분 흡수와 증발이 계속 반복되다 가성소다가 모두 소비되면 비누는 계속되는 증발 현상으로 마르고 갈라지게 됩니다.

    때문에 비누가 마르게 되어 거품이 잘 나게 되지 않는 것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를 거의 다 쓰면 거품이 잘 안나는 이유는 비누의 양이 적기 때문입니다. 비누의 양이 적으면, 비누와 물의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거품이 잘 생성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는 거품을 만들어내는 가성소다인 수산화 나트륨 성분과 물에 녹지 않고 먼지등과 결합하는 지방산 성분이 합쳐져서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손을 씻으면 거품이 나면서 먼지나 이물질들이 씻겨 나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수산화나트륨성분인 가성소다는 공기중에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수분을 흡수하면 증발되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그래서 증발되면서 작아지고 그러면서 수산화나트륨성분이 날라가면서 갈라지고 마르면서 오래되면 거품이 잘 발생되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거품은 비누의 표면적에 비례해서 생기는데요

    작아지면 표면이 작아지니 거품이 적게나오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