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대범한대벌래6
대범한대벌래623.05.14

대기권의 온도는 얼마나 되는지요?

대기권에는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그리고 열권이 있다고 하는데 각 층의 온도는 어느정도 되고 낮과 밤의 온도의 변화는 어떤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대기권의 온도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합니다. 이를 기온 경로라고도 합니다. 대기권의 하층부인 대기권 상층부에서는 고도가 낮을수록 기온이 높고, 고도가 높을수록 기온이 낮아집니다. 이는 대기권에 있는 공기의 밀도가 고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대기권 상층부에서는 공기가 희박해지면서 열이 잘 전달되지 않아 기온이 낮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은 지구상에서 대기가 존재하는 층으로,


    그 두께는 약 1000 km 로 정의 합니다.


    대기권은 온도의 수직 분포에 따라서


    네개의 층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가장 아래에 있는 대류권에서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은 계속 낮아져


    고도 약 12 km 인 대류권계면에서 약 영하 55 ˚C 정도 됩니다.



    성층권에서는 반대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도 함께 상승하여 고도 50 km 인 성층권계면에서 약 0 ˚C 정도 입니다.



    중간권에서는 고도가 놏아짐에 따라 기온은 계속 내려가서


    고도 80 km 인 중간권계면에서 대기권에서 기온이 가장 낮게


    타나납니다. 이곳의 온도는 약 영하 100 ˚C 정도 입니다.



    열권에서는 대기가 매우 희박하여


    기온이 급격하게 중가하는데,


    낮과 밤의 일교차가 매우 크게 나타납니다.


    고도 약 500 km 부근에서 밤에는 약 600 ˚C 정도,


    낮에는 약 1700 ˚C 까지 기온이 상승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류권에서는 위로 100m씩 고도가 상승할수록 기온은 약 0.65℃씩 낮아지 며 10km 높이에서는 기온은 영하 50℃ 정도가 된다. 대기권을 구성하는 전체 기체의 약 75%가 지표면에서 가까운 대류권에 분포 하고 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에서부터,

    > 대류권 (Troposphere): ~15 km : 40~-55도

    > 성층권 (Stratosphere): ~50 km : -55 ~0도

    > 중간권 (Mesosphere): ~85 km : 0 ~ -77도

    > 열권 (Thermosphere): ~690 km : -77~-50도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권은 크게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누어집니다. 각 층의 온도와 낮과 밤의 온도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류권

    • 지표면에서 약 10~15km까지의 층으로 대기의 80% 이상이 분포합니다.

    • 대기의 온도는 지표면에서 높은 곳으로 갈수록 낮아지지만, 일정한 경도에서는 안정층이 형성되어서 온도가 일정합니다.

    • 지표면에서는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큽니다.

    1. 성층권

    • 대류권 위쪽으로 약 50km까지의 층으로,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층입니다.

    • 성층권의 온도는 지표면에서 약 -60℃ 정도로 시작하여 고도 50km 지점에서는 -110℃ 정도까지 떨어집니다.

    1. 중간권

    • 성층권 위쪽으로 약 80km~500km까지의 층입니다.

    • 중간권에서는 전자와 양성자가 충돌하면서 빛을 내는 오로라 현상이 발생합니다.

    1. 열권

    • 지구 대기권의 가장 바깥쪽으로 약 500~1000km까지 이어진 층입니다.

    • 열권에서는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이 상호작용하면서 광학적 현상인 극광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대류권: 지구 표면에서 10 ~ 15km까지의 층입니다. 대류권의 온도는 지표면에서 높이가 올라갈수록 낮아지며, 대략 지구 평균 기온인 약 15도 정도입니다. 낮과 밤의 온도 변화는 크며, 지구 표면과 밀접한 연결이 있기 때문에 지구 표면의 온도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 성층권: 대류권 위쪽에서 50km까지의 층입니다. 성층권은 대류권과는 달리 온도가 상승합니다. 이는 오존층이 위치한 층으로서,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낮과 밤의 온도 변화는 크지 않습니다.

    - 중간권: 성층권 위쪽에서 80 ~ 85km까지의 층입니다. 중간권의 온도는 다시 하강하는데, 이는 이 영역에서 태양광 복사에 의한 열 손실이 지구 방사에 의한 열 방출보다 더 크기 때문입니다. 낮과 밤의 온도 변화는 크지 않습니다.

    - 열권: 중간권 위쪽에서 600km 이상까지의 층입니다. 열권은 다시 기온이 상승하는데, 이는 열전도 및 열대류에 의한 것입니다. 낮과 밤의 온도 변화는 거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