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심심한코끼리189
심심한코끼리18924.02.18

일반적으로 요즘 다 정수기가 설치되어 있어서요 생수 vs 정수기 물 차이 있나요?

일반적으로 회사 가정 정수기는 다 요즘 구입하더라고요 편리하게 물을 먹고요. 생수도 판매하고 필요할때 사는데 생수랑 정수기물의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회사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정수기는 매우 편리한 수단으로 물을 마시는 데 사용됩니다. 그리고 생수를 판매하고 필요할 때 구매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생수와 정수기 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물의 원천입니다. 생수는 자연에서 채취한 물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마시는 것이고 정수기 물은 수돗물을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정화한 후 마시는 것입니다. 따라서 생수는 물의 원천에 따라 맛과 성분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정수기 물은 정화 과정을 거쳐 물의 맛과 성분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그리고 생수는 물의 원천에 따라 미네랄 함량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정수기 물은 정화 과정에서 미네랄을 일정 수준으로 조절하여 일관된 물의 품질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수기 물은 생수보다 미네랄 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건강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생수는 일회용 플라스틱 병에 담겨 판매되기 때문에 환경 오염의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정수기 물은 재사용 가능한 컵이나 병에 담겨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더 친숙합니다.

    마지막으로 생수는 정수기 물에 비해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생각하면 정수기 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입니다. 생수는 물의 원천에 따라 다양한 맛과 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정수기 물은 정화 과정을 거쳐 일정한 맛과 성분을 유지합니다. 그리고 정수기 물은 환경에 더 친숙하고 경제적입니다. 따라서 정수기 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수는 지하수를 처리한 물입니다. 처리방식은 각 업체마다 다를 수 있지만 공통적인 것은 인체 유해성분은 제거하고 순수한 물을 생산하는 데 집중하는데요 처리하기 전의 수질이 좋은 경우가 생수의 기본 조건이 되는데 여기에다 혹시 생수에 유입됐을지도 모를 흙, 먼지, 모래, 유리섬유 등의 고체 부유물과 곰팡이, 박테리아 등을 완벽히 제거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생수의 최대 장점은 어떤 경우이든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먹는 물에 염소가 함유된 경우는 장기적으로 볼 때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중론인데 다만 생수가 문제가 되는 것은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고 페트병에 담겨서 유통되는데 그 과정에서 페트병이 햇볕에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물에 악영향을 줄 수 있죠.

    정수기물의 원수는 수돗물입니다. 정수기는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필터 정수기’와 ‘역삼투압 정수기’ 인데필터는 각종 불순물을 걸러주는 장치입니다. 역삼투압 방식은 물을 최대한 깨끗하게 해주기 위해서 적용되는 기술이므로 머리카락의 100만분의 1 크기의 불순물까지 걸러준다고 하니 어떤 이물질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물속에 함유된 미네랄도 걸러지게 됩니다 그런 탓에 이 물의 PH농도는 5.7~ 6.0으로 약산성을 띠게 되고 우리나라의 먹는 물 기준에는 부합하지만 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PH농도 6.5~8.5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수는 지하수를 여과하고 살균하여 생산하며, 정수기는 수돗물을 필터로 정수합니다 이로인해 생수는 원수에 따라 다르지만 정수기 물보다 미네랄 합량이 높고, 정수기 물은 대부분 미네랄 함량이 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