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8

신기루가 사막에서 생기는 이유는 뭔가요?

영화같은 것을 보면 사막에 신기루가 있어서 오아시스 보고 가면 아무것도 없는데.

이런 현상은 왜 생길까요? 어떤 원리로 해서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란 물체의 실제 위치가 아닌 다른곳에서 물체가 보이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대기층이 불안정할때 빛의 굴절현상으로 생깁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1.18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가 일어나는 이유는 빛이 굴절하면서 허공에 하나의 허상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공기의 온도와 밀도는 반비례한데 온도가 높으면 공기가 팽창하기 때문에 밀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낮으면 공기가 수축하여 밀도가 높아집니다.공기의 밀도가 달라지는 경계면에서는 그 속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현상이 일어나며 밀도차이가 클수록 빛의 굴절 역시 그만큼 커지게됨니다.


  • 신기루는 공기의 밀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해 밀도가 낮습니다.

    밀도가 차이가 생기면 빛이 굴절하게 되고,

    지면에 있는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위쪽에서 더 휘게 됩니다.

    이때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현상이 신기루 입니다.

    따라서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신기루로 보곤 하는데,

    이런 신기루가 보이는 것은 실제로 오아시스가 근처에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