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한한령이 해제될 수 있다고 하던데 우리나라 콘텐츠 성장에 도움이 될지요?
중국이 사실상 여지껏 시행했던 한한령을 해체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가 있더라고요. 아무래도 미국과 중국 갈등 속에서 중국이 전략적으로 외교 노선을 바꾸려는 탓에 한한령을 해제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견도 있던데요 이게 만약 해제된다고 하면 우리나라 K-콘텐츠뿐만 아니라 화장품이나 식품 산업에서도 꽤나 괜찮은 소식이 아닐까 싶더라고요.
이게 기정사실화된다면 중국 내수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어떤 스탠스를 취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산업 중 화장품, 게임, 엔터테인먼트 관련 기업들에겐 아주 좋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중국을 타겟팅 한 제품과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애초부터 미국일본 합친 수출량이 중국 하나와 맞먹었습니다 반공을 외친것은 바보짓이었죠
명동거리나 화장품 식품 면세점 백화점 숙박업들 모두 환호성을 지를 일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한령이 걸리면서 당시 엔터관련주식들과 게임 산업들이 폭락을 했었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 중국이라는 큰 시장을 버리게 되는 꼴이 되었으니 기존에 비해서
수익이 크게 감소할수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한령이 해제가 된다면 콘텐츠 산업 성장에는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로의
관광 유입도 크게 늘 수 있다는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보종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주 많은 도움이 됩니다.
우선 중국 내 한국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의 방영이 다시 활성화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한류 스타들의 중국 활동도 본격적으로 재개될 수 있고, OTT 플랫폼에서도 한국 콘텐츠 소비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중국 자본이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다시 들어올 가능성도 있기에 파이 자체가 커집니다.
우리나라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콘텐트 업계는 중국을 겨냥한 콘텐트 생산, 공동제작 등을 생각해볼 수 있고,
제조업도 마찬가지로 중국 수출을 겨냥한 상품을 기획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한한령이 해제된다면 우리나라 컨텐츠의 수출이 활발해 지게 되어 우리나라 컨텐츠의 소비가 많아지게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 컨텐츠 산업에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될것입니다.
중국은 국가의 통제가 심한 나라로 컨텐츠르 제작할때 통제를 벗어난 주제나 내용을 넣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국에서 컨텐츠 사업을 할때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방법이 될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