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2.06.14

인플레이션이 왜 위험한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뉴스를 보다보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가장 큰 화두인데요.

인플레이션이 왜 이렇게 위험한 것이며 여러 나라들에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될까봐 걱정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란 통화량이 팽창하고 상당기간에 걸쳐 물가가 올라 상대적으로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경제용어를 말합니다. 반대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호황일 때는 인플레이션, 불황일 때는 디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KDI에서 안내하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첫째, 빈부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땅이나 건물, 재고 상품과 같은 실물의 가치는 물가와 함께 상승하는 경향이 있지만, 화폐 가치는 하락한다. 주택이나 건물을 가지고 있지 않은 서민들이나 봉급 생활자들은 화폐 가치 하락으로 실질 소득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빈부 격차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둘째,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사람들은 열심히 일하고 아껴 저축하기보다는 토지나 기존에 만들어진 건물 구입 등의 비생산적인 투기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는 사회 전반적인 근로의욕 저하나 생산을 위한 투자활동의 위축을 초래하여 결국 국민 경제의 건전한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셋째, 국제수지의 악화를 가져온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외국 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국 상품의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싼 수입품을 더 많이 찾게 되어 수입이 증가한다. 반면, 국내 물가의 상승은 수출품의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져 외국 소비자의 수요가 감소하여 수출이 줄어들 것이다. 결국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함으로써 국제 수지가 악화된다.

    https://eiec.kdi.re.kr/material/conceptList.do?depth01=00002000010000100010&idx=146


  • 인플레이션의 용어는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경제적 현상을 얘기하는데 지금은 코로나로인한 경기침체에서 벗어나 경기가 활성화가 되어야하는데 미국연준의 금리인상과 우쿠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의 장기전으로 인한 원유가격 급상승 및 곡물 공급 불안정에 따른 소비자물가가 계속증가되어 이런 문제가 단기에 그치지 않고 장기화될 우려가 크기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6.14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사회를 불안하게 만듭니다.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가 내전의 소용돌이에 빠진 것은 단지 인종적·종교적 갈등 때문만이 아니었습니다. 유고슬라비아는 1980년대 불어닥친 경제위기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80년대 말에는 물가인상률이 1200%에 육박했습니다. 이 때문에 사회 통합에 기여한 중산층이 붕괴되자, 그동안 잠재해 있던 인종적·종교적 갈등이 폭발했습니다. 1940년대 매달 50%씩 물가가 오른 독일에서는 나치 정권이 등장했고, 러시아와 중국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선 것도 살인적인 물가 인상 탓입니다. 최근 중동에서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민주화 시위는 치솟는 곡물 가격에 대한 정부의 무능한 대처가 주된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