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비빙
비비빙23.06.04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비가 오고나면 무지개가 생기는데 어떠한 원리로 무지개가 생기는 것인지 왜 무지개는 7가지 색인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참고할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고나면 무지개가 생기는 현상은 광학적 현상 중 하나로, 빛이 굴절, 반사, 분산되는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빛은 공기와 같은 매질을 통과할 때 직선으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다른 매질로 인해 빛이 굴절되거나 분산될 수 있습니다.

    비가 오고나면 빛은 비의 작은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굴절되고, 분산됩니다. 이때, 빛이 분산되면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의 7가지 색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이 색들은 빛의 파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색으로, 빨간색은 파장이 길고, 보라색은 파장이 짧습니다.

    이때, 분산된 빛은 무지개를 형성하게 되며, 이 무지개는 빛의 색깔이 서로 다른 선명한 줄무늬로 나타납니다. 무지개의 색깔은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무지개가 7가지 색으로 나뉘어지는 이유는 아이작 뉴턴이 처음으로 빛을 분석하여 7가지 색깔로 나누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차민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공기 속에 있는 물방울과 햇빛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현상이에요. 공기 속에 떠 있는 작은 물방울이 햇빛을 받아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 것이지요.

    햇빛은 우리 눈으로 보기에 색이 없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가지 빛깔이 섞여 있어요.

    빛의 방향을 바꾸는 도구로 쓰이는 프리즘을 통해 보면 여러 색깔로 나뉘어요.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서 색깔에 따라 꺾이는 각도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빨간색은 조금 꺾이고 보라색은 많이 꺾이지요.

    무지개가 만들어지는 원리도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는 것과 같아요. 소나기가 지나간 대기 중에는 물방울이 많아져요. 이 물방울이 프리즘의 역할을 하지요.

    햇빛이 이 물방울을 통과할 때 햇빛의 방향이 꺾이고 흩어져요. 이때 햇빛이 꺾이는 정도에 따라 햇빛의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지요.

    즉, 햇빛이 공기 중의 물방울을 통과할 때 분산되면서 여러 가지 색으로 나뉘어 무지개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랍니다. 7색인 이유는 각 빛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햇빛이 대기 중의 수증기에 의해 굴절, 반사, 분산되면서 나타나는 기상학적 현상입니다.

    즉, 비가 온 뒤 공기 중 물방울이 프리즘의 역할을 하며 햇빛을 굴절시켜 발생합니다.

    그리고 무지개는 실제로는 7가지 색상이 아닙니다.

    프리즘으로 광분한 무지개는 우리가 구분할 수 있는 한 207개의 색상으로 구분 되었습니다.

    7가지 색상은 뉴턴에 의해 구분 된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까지 5색으로 구분했으며, 미국은 6색 등 국가마다 다양한 수로 무지개의 색을 표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