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1

비 온 뒤 무지개가 생기게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비 온 뒤 무지개가 생기게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무지개의 색깔은 왜 7가지 색깔인지도 궁금합니다. 무지개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의 원리 무지개는 빛의 분산으로 일어납니다.

    빛의 분산은 백색광에 포함된 여러가지 색의 빛이 성질이 다른 물체를 만나 굴절을 하는데 이때 색깔마다 굴절률이 달라서 빛이 퍼지게 됩니다.

    이때 생긴 무지개색의 색깔 띠를 스펙트럼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색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7가지의 무지개 색깔은 뉴턴이 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7색인 이유는 성수 7에 맞추기 위해 만들었다고 하네요.

    미국이나 영국에서도 학술적으로는 뉴턴의 정의를 따르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이것에 따르고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3.02.11

    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서 생깁니다.

    비가 내린 뒤에는 공기 중에 수 많은 물방울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햇빛이 들어오게 되면,내부에서 굴절과 반사가 생기게 됩니다.

    즉,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여 분산에 의해 무지개를 만들게 됩니다.

    그리고 무지개는 실제로 일곱 색깔은 아닙니다.

    무지개를 연구하던 뉴턴이 적절히 7개로 분류해서 이후로 계속 일곱가지로 정의된 것입니다.

    실제 무지개를 분광해보면 200여가지가 넘는 색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