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2.12.31

우리나라는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면 무조건 올리는 방향인가요?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덩달아서 같이 올릴 수밖에 없는 구조인가요?

아니면 미국이 올려도 우리는 경제상황이 괜찮아질 수도 있나요?

미국의 금리와 우리 경제사정이 어떤 관계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명실상부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부유한 국가이며, 미국의 정책 하나하나가 전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이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정책 등 여러가지 정책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외화유출 등의 방지를 위해 미국의 금리보다 우리나라의 금리를 조금 더 높게 설정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최근 미국의 고강도 긴축정책의 일환으로 금리인상이 많이 이루어졌고 우리나라는 대략적인 방향자체는 같지만,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을 무조건 따라가고있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미국을 따라서 금리를 인상해야 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는 것은 미국의 화폐가 세계 교역의 기초가 되는 '기축통화'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이 기준금리 격차가 역전되고 이 격차가 심화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은 바로 '달러환율의 상승'입니다. 예를 들어서 1금융권에서 금리를 4.5%를 준다고하며, 2금융권에서 금리를 3.25%를 준다고 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전하고 금리를 높게 제시하는 1금융권인 미국으로 투자를 하기 위해서 2금융권 자금(한국)을 인출하여 1금융권의 자금(달러)로 환전하여 투자를 하게 됩니다. 즉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서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미치게 되는 영향은 가장 처음 말씀드린대로 '달러가 세계 교역의 기초인 기축통화'라는 점입니다.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70%가 외수시장이며 이 중에서 제품 생산을 위해서 소요되는 원자재의 경우는 거의 100% 수입에 의존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수입을 위한 기축통화인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은 미국과의 교역을 제하더라도 사우디에서 수입하는 원유의 가격이 상승하게 될 것이고 중국에서 수입하는 리튬이나 구리와 같은 원자재의 가격도 상승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원자재들의 수입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제조기업들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면서 이는 곧 제품가격의 상승과 인플레이션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따라서 우리나라가 금리를 인상하지 않게 된다면 위와 같이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고 우리나라는 '고환율'과 '고인플레이션율'의 사태에 놓이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태를 막기 위해서 미국을 따라서 금리를 인상을 할 수 밖에 없기에 미국 시장이 경기가 좋지 않다면 우리나라의 경제도 마찬가지로 경제가 좋아질 수 없는 구조라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달러환율과 별개로 우리나라 수출실적의 20%정도가 미국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는만큼 미국 시장의 침체는 곧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의 실적악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미국의 경제와 우리나라의 경제는 별개로 놓고 보기 힘든 높은 경제관련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3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인상 충격에 대해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우리 경제에 경기 둔화가 그대로 파급되는 반면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할 경우 일시적인 물가상승 외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아요. 그리고 사회후생의 관점에서 미국 금리에 동조하는 정책보다 국내 물가와 경기 여건에 따라 운용하는 독립적인 통화정책의 효용이 더 큰 것으로 분석돼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안타깝게도 한국은 미국 경제의 의존적입니다. 이건 제 생각이 아니고 한국은행 총재 의견입니다.

    미국 금리를 오르면 한국도 올라야 합니다. 아니면 금리차이가 커져서 외국인들 자금 이탈이 가속화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