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달달한 너구리
달달한 너구리22.09.20

보통 불은 산소가 있어야 하는데 태양은 어떻게 타고 있는건가요?

불은 산소가 있어야 계속 붙어 있을 수 있는데

산소가 없어도 불이 붙을 수가 있나요?

아니면 태양에는 산소가 있는건가요??

어떻게 계속 타고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가 방출되는 거랍니다. 수소가 헬륨으로 융합되면서 에너지가 방출되는 거지요.


    그러면서 많은 열과 빛이 발생하는 거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양자역학 등을 통해 알 수 있구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내부에는 삼중수소가 풍부하고 고온의 환경에 고압의 환경이 갖추어져있어 핵융합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핵융합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복사되어 방출됩니다.


    감사합니다.


  • 태양의 에너지는 수소와 헬륨의 핵융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태양의 핵융합에 의해 수소가 소모되면 상대적으로 헬륨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게 됩니다.
    그런데 헬륨이 소모될 때 훨씬 더 에너지를 많이 방출해서 태양이 점점 더 뜨거워집니다.

    이것이 불꽃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용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불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저 핵융합 반응에 의해 거대한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을 뿐입니다.

    태양 자체는 거대한 수소가스 덩어리라고 해도 무방한데요, 이 수소의 원자핵들이 서로 충돌함으로써 중수소를 만들어 내며, 이 중수소가 다시 충돌할 때 헬륨 원자핵이 만들어집니다.

    이런 화학반응이 반복되는 가운데 엄청난 에너지가 생성되는데, 이렇게 방출되는 에너지가 마치 겉으로 보기에는 불타오르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별이고, 별은 핵융합 반응을 통해 빛 에너지(활활 타오를 수 있음)를 낼 수 있습니다.

    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원자(원자핵)와 원자(원자핵)가 결합해 더 큰 원자(원자핵)가 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원자 2개의 질량을 더하면 헬륨핵 질량보다 큰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태양의 수명은 100억년 정도이고, 현재 태양의 나이는 46억년이라고 밝혀져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