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수제비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물수제비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물표면메 돌멩이가 여러 번 치는 현상의 신기하고 그 원리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수제비는 편평한 돌이 회전함에 따라 물과의 접촉면을 최대화하는 원리입니다.
접촉면이 많고 강하게 부딪힐 수 록 액체는 고체와같은 성질을 띠므로,
돌을 바깥으로 밀어냅니다.
따라서 돌을 최대한 회전하게하고, 편평한면을 물의 수면과 맞추어서 던지면 잘 됩니다.
감사합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는 표면장력이라는 물 분자간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합니다. 전기력을 기반으로 한 힘이죠. 컵에 물을 가득 따르고 난 뒤 조금 씩 물을 따라도 물이 바로 쏟아지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런 표면장력에 의해 물수제비가 가능한것입니다. 비스듬히 날아가는 돌멩이 입장에서 물표면이 마치 땅바닥처럼 결합력 있기 때문에 돌멩이가 물표면에 부딪혀 다시 튀어오를 수 있는 이유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물수제비는 물의 표면 장력 때문에 물에 돌이 튈 수 있습니다.
표면 장력은 액체가 기체/고체에 접해있을 때, 그 경계면에 생기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힘입니다.
물을 컵에 부었을 때, 컵을 꽉채워도 물이 조금 더 튀어나오는 이유가 표면장력 때문입니다.
납작한 돌을 던지면 돌의 앞머리가 물에 부딪히고, 물을 밀게 됩니다.
그러면 부딪치는 물의 양이 많아지면서 물의 분자 결합력이 높아집니다.즉 표면장력이 돌을 튀게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