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주 동안의 관세 이슈 진행 과정 정리해주실 분
안녕하세요 3주 동안 훈련소 다녀오느라 바깥 세상 소식을 잘 접하지 못했습니다
나오자마자 관세 관련 난리가 났던데 뭔 상황인지 쉽게 정리가 되질 않아서 진행 과정, 여파 등 주요 내용을 요약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지난 3주 동안의 관세 이슈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지난 3주 동안 가장 중요한 이슈는
엊그제 한국도 일본, EU 등에 이어서
미국과 관세 협정을 15퍼센트, 3,500억 달러에 했다는 것이
제일 중요한 이슈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미국이 일방적으로 대부분의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해당 국가들에게는 청천벽력과 같은 소리이고 어쩔 수 없이 미국과 협상을 나서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트럼프가 지속적으로 미뤄줬지만 더 이상 미룰 수 없게 되다 보니 우리나라도
협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협상이 생각보다 어렵게 되어 우리나라도 압박을 받게 되었고 결국 협상을 하게 되었는데
미국과 우리나라가 발표한 협상안이 달라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3주 전쯤 미국이 우리나라 포함 14개국 수입품에 대해 8월 1일부터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면서 상황이 급박하게 흘러갔습니다. 수출업계 전반에 불안이 퍼졌고, 정부는 산업부 중심으로 즉각 대응에 들어가 미국 측과 협상 테이블을 열었습니다. 결국 7월 30일, 관세율을 15%로 낮추는 조건으로 자동차 중심의 타결안이 발표됐습니다. 대신 우리나라가 미국에 대규모 투자와 lng 수입 확대를 약속하는 거래가 포함됐습니다. 자동차반도체k-뷰티 기업들은 안도하는 분위기지만, 철강이나 일부 보호품목은 기존 고율관세가 그대로 유지돼 여전히 리스크가 남아 있습니다. 경제지표상으론 7월 제조업 경기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데, 그럼에도 수출 증가세는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라 한숨은 돌렸지만 마음 놓기엔 이른 흐름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3주간 관세 이슈를 말씀드리면, 먼저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 국가들의 상호관세 마감 시한은 7월 31일이었는데요. 일본과 유럽이 먼저 관세율을 15%로 낮추는 협상 결과를 얻었고 우리나라는 협상이 진전되지 않았었습니다. 7월30일 극적으로 관세 협상을 타결했고, 우리나라도 15%관세율을 적용 받기로 합의 하게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