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월천로얄티
월천로얄티

지구는 왜 푸르게 보이나요? 달이나 별들은 하얗게 보이는데요.

지구에서 달이나 다른 별들을 보면 하얗게 반짝반짝하잖아요. 그런데 지구 밖에서 지구를 본 사진을 보면 지구는 푸르게 보이는데, 지구는 왜 푸르게 보이나요? 달이나 별들은 하얗게 보이는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지구 표면의 70%가 바다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태양빛이 지구에 들어와서 다시 우주로 반사되어 나갈 때 단파장인 파란색 계통의 빛이 대기에서 산란되기 때문에 우주에서 보면 지구가 푸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지구에서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원리와 동일한 이유로 지구는 푸른 행성이 되었습니다.

  • 지구도 하늘색이 아닙니다.

    지구 사진을 찍어서 하늘색으로 보정한 것입니다.

    아래는 나사에서 공개한 무보정 지구 사진이며, 실제 다른 행성처럼 매우 탁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에 빛이 굴절, 반사 및 산란 되면서 인간의 시각에 그리 보이게 되는겁니다.

    별의 색깔 및 반짝임 등도 지구 대기의 움직임 때문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지구의 대기가 태양빛 중에서 단파장인 푸른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태양빛은 여러 파장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한부분이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시광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희 지구의 대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지구의 대기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대기의 색이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파란 이유는 지구의 대기가 태양빛 중에서 단파장인 푸른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파장으로 나눌 수 있고 그 중 한부분이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입니다. 가시광선은 빨주노초파남보 색깔로 나뉘게 되는데 빨간색은 상대적으로 파장이 길고, 파란색, 남색, 보라색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습니다. 이에 대기는 상대적으로 짧은 푸른색의 빛들을 많이 산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우리의 눈에는 푸른색이 비춰져 지구(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