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냉철한라마35
냉철한라마35

달에서 보는 별빛은 안 반짝이는데 지구에서 바라보는 별빛은 반짝입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달에서 보는 별빛은 안 반짝이는데 지구에서 바라보는 별빛은 반짝입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달과 지구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길래 그러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의 별이 반짝이는 이유는 별빛이 지구 대기를 들어오며 굴절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인데요 . 별빛이 밀도가 일정하지 않은 공기층을 통과하며 다양한 굴절률을 보이고 이 과정에서 반짝이는 것처럼 보이게 되고 달은 대기가 없기 때문에 반짝이지 않죠

  • 안녕하세요. 임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에서 보는 별빛이 지구에서 바라보는 별빛과 달리 반짝이지 않는 주된 이유는 지구의 대기 때문입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는 지구에는 대기가 있지만, 달에는 실질적으로 대기가 없다는 점입니다. 이 차이가 별빛이 어떻게 관찰되는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1. 지구 대기의 영향: 지구 대기는 다양한 밀도와 온도를 가진 가스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별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할 때, 이 가스 층의 온도와 밀도 변화 때문에 빛의 경로가 약간씩 굴절됩니다. 이 현상을 대기 굴절이라고 하며, 이로 인해 별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기 전에 빛의 경로가 지속적으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별이 깜박이거나 반짝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2. 달의 대기 부재: 반면, 달에는 대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별빛이 달의 표면으로 직진하여 도달할 때 굴절되거나 경로가 변경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달에서 별을 관찰할 때는 별이 반짝이지 않고 고정된 빛으로 보입니다. 별빛이 달의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대기에 의해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별의 진짜 모습을 더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3. 관측 조건의 차이: 지구에서 별을 관찰할 때 대기 상태(예: 습도, 기온, 공기의 탁도 등)는 별빛이 얼마나 많이 굴절되고 반짝이는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반면, 달에서는 이러한 변화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별빛은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별빛이 지구에서 반짝이고 달에서는 그렇지 않은 현상은 지구의 대기가 있고 달에는 없다는 근본적 차이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