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비범한얼룩말25
비범한얼룩말25
19.10.17

페이스북과 GA의 수치가 너무 차이가 큽니다.

안녕하세요?

페이스북 구매전환되는 수치가 구글애널리틱스에서 확인되는 값보다 너무나 크게 상회하는데,

이게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링크 클릭된 수와 GA에서 Souce사용자수는 거의 비슷한 수치인데, 정작 구매전환으로 일어난

구매데이터에서는 약8배 정도 차이가 납니다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렁찬벌새18
    우렁찬벌새18
    19.10.18

    안녕하세요? 아하(Aha) 구글애널리틱스 분야 지식답변자 REBEL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넵 답변을 드리자면 여러가지의 이유가 있지만,
    애널리틱스의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페이스북은 일단 로그인 기반 유저(UID)로 잡기 때문에
    크로스디바이스 분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구글애널리틱스는 쿠키기반이므로 유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구글애널리틱스를 반쪽짜리 데이터라고 불리죠.

    두번째 이유로는 어트리뷰션입니다.

    페이스북과 구글 크레테오 같은 프로그래매틱 툴들은
    만약 전환이 페이스북 -> 네이버 -> 구글 이렇게 구매가 발생되었다고 가정하면,
    페이스북은 최초 인지한것 까지 성과로 잡지만, 구글애널리틱스는 라스트클릭기준으로 발생한 구글애즈 광고를 집계하게 됩니다. ( 저도 페이스북 측으로 첫번째 두번째도 정말 구매성과로 잡는지 다시한번 피드백 받아보겠습니다. 헷갈리네요 ㅎㅎ)

    따라서 페이스북으로 전체기준으로 보셨다면, 과포화된 성과를 보고 있는것이죠.
    구글애널리틱스는 기여기간은 첫번째 클릭으로 전환이 되었는지 라스트클릭으로 잡힌 전환이 되었는지 구분해서 볼수 있다는게 장점입니다.

    페이스북의 성과를 가장 보수적으로 잡을 수 있는 방법은,
    사업의 비지니스가 구매의 소요일수를 체크해보고,
    페이스북에서 1,7일,28일클릭 기준으로 나눠서 체크해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리고요.

    추가적으로 페이스북에는 클릭후 전환과 노출후 전환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클릭후 전환은 순수히 클릭해서 전환을 발생한 사람이고
    노출후 전환은 광고를 봤지만, 클릭하진 않고 사이트에 들어와서 구매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경우 클릭후 전환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노출후 전환이 문제가 됩니다.

    구글측과 여러번 이야기해본 결과
    노출후 전환이 가지는 의미는 2가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어차피 구매할 사람에게 광고가 나간점(부정적 관점)
    브랜드를 상기시켜서 구매를 유도했다는점(긍정적 관점)

    따라서 애널리틱스의 어트리뷰션(기여기간)에 대한 한계를 이해하시면,
    어떻게 지표를 해석할 수 있는지 나만의 방법이 나오게 됩니다.

    기타자료로 : https://www.i-boss.co.kr/ab-6141-29508
    해당글을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