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2.14

고려의 신진사대부는 어떻게 등장하게 된 세력인가요?

고려시대 정몽주, 정도전 등이 속한 신진사대부는 당시 어떤 배경에서 등장하게 된 세력인가요?

또, 신진사대부가 성리학을 중요하게 여긴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진사대부는 고려 공민왕이 왕권 강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습니다. 공민왕은 반원 정책과 왕권 강화 등 개혁 정책을 추진했는데, 친원적인 권문세족을 견제하기 위해 신진 세력이 필요했습니다. 당시 과거와 국자감(성균관)을 강화하면서 지방의 향리 자제들이 중앙 으로 대거 진출합니다. 이들은 성리학을 학문적 배경으로 권문세족, 친원 정책을 비판하며 공민왕의 개혁 정책을 뒷받침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고려 공민왕 대 이후 본격적으로 과거를 통해 정계에 진출한 세력이며, 이들은 주자가 집대성한 성리학적 이데올로기로 무장함에 따라 권문세족의 대농장 소유 등을 비판하였고, 이를 자신들의 정치 사상적 기반으로 활용했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들여온 성리학의 영향으로 여말선초에 신진 사대부 계층이 형성되었으며 조선 건국에 대해 찬반으로 나뉘게 됩니다. 포은 정몽주 등의 절의파는 고려 왕조를 바탕으로 개혁을 추구하고자 했으며 삼봉 정도전 등 역성혁명파는 부패하고 무능한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건설하고자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진사대부라는 계층이 정치 세력으로써 만들어진 시기는 공민왕 시기입니다. 공민왕은 권문세족을 숙청하면서 그 반대급부의 세력을 키우기 시작했고, 특히 노국대장공주 죽음 이후 슬픔에 빠진 공민왕은 신돈에게 전권을 맡기게 되면서 신돈은 개혁의 일환으로 사대부들을 대거 등용했는데, 그 덕분에 이색을 비롯한 성리학에 밝은 관리들이 본격적으로 정계에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이들은 '새롭게 등장한 사대부'라는 뜻에서 '신진사대부'라 불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