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9.10

교사와 학생간의 가장 효과적인 소통방법 있을까요?

학생들이 담임 선생님을 어려워하듯 교사도 학생과 어떤식으로 대화룰 해나가야 할지 고민인거 같네요. 교사와 학생간의 효과적인 소통방법 있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교사와 학생 간의 효과적인 소통 방법은 명확하고 친근한 언어 사용, 열린 질문을 통한 학생의 의견 수렴, 정기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김민희 유치원 교사blue-check
    김민희 유치원 교사24.09.10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과 교사간 효과적인 소통 방법의 경우에는 선생님이 잘 해주셔야 될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들은 아직 성숙하지 않고 사회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아주 어눌하고 쑥쓰러움도 많을것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선생님께서 아이들을 잘 관찰해주시고 아이들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많은 아이들을 케어하는 입장에서는 쉽지 않겠지만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는 선생님게서 부지런해지셔야 될것으로 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평소 아이의 행동이나 언행을 면밀히 살펴 아이의 성향을 파악하고, 성향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긍정적인 격려를 하면서도 문제 행동에는 단호하게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교사와 학생 간의 효과적인 소통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직접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하면 서로의 표정과 감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메일이나 문자를 이용하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방의 반응을 바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충분한 시간을 두고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온라인 채팅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어 빠르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속어 및 악성 댓글 등 부작용이 존재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그룹 토론을 하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서로의 생각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전에 주제와 규칙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워크숍이나 캠프를 이용하면 함께 참여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때, 서로의 관심사와 취미를 중심으로 대화를 이끌어내면 더욱 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상담을 이용하면 개인적인 문제나 고민을 솔직하게 나누고, 서로의 조언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비밀 보장과 안정감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관찰과 피드백을 이용하면 서로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고려하고, 구체적인 이유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방법들을 조합하여 상황에 맞게 적용해보면 보다 효과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단,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정기적으로 학생들과 대화를 나오고 학습 진행 상황을 체크합니다.

    그리고 평소에 아이의 생각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생각을 끌어내고

    대화에 적극 적으로 참여 하도록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