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꿀벌4590
꿀벌459023.05.29

일본이 애니메이션 강국인 이유는 창의성이 좋아서 일까요?

일본이 애니메이션 강국인 것은 전 세계가 인정하잖아요

저도 유명한 일본 애니메이션을 보면 스토리에 놀라는데요

일본 사람들이 창의성이 좋아서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애니매이션은 재패니메이션이라고 하여 전세계적으로도 애니매이션 강국으로 인정받고 많이 알려진 문화입니다. 재페니메이션이 성공한데에 다양한 요인이 있는데요.

    1. 문화적인 인식과 역사: 일본은 2차 대전 이후부터 전쟁의 패배로인해 충격을 받고 사기가 떨어진 국민들에게 아톰이라는 만화를 통해 희망을 심어주고 큰 용기를 주게 되는 계기가 있었습니다. 그 뒤 일본에서 만화는 대중 예술에서 가장 인기있고 성공적인 장르로 인식되었으며 이후 만화를 영화의 범주로까지 연결시킴으로써 애니메이션 산업으로의 발전을 도모했습니다.

    2. 창의적인 인재와 기술력: 일본은 위와 같은 이유로 전국민들이 만화에 대한 관심과 호감으로 인해 애니메이션 산업에 필요한 창의적인 인재를 계속해서 발굴할수 있는 조건을 갖췄습니다. 게다가 기술력도 갖추고 있습니다. 일본은 예술 학교와 대학교에서 애니메이션 및 만화 관련 전공을 제공하며, 다양한 작가, 감독, 애니메이터 등의 인재를 배출하였습니다. 또한,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일본은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디지털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3. 다양한 장르와 스토리텔링: 일본의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장르와 스토리텔링을 제공합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와 스토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런 다양성을 갖출수 있는 저변으로는 일본 출판만화계가 매우 크고 다양한 소재를 다루는것을 토대로 애니매이션적으로도 발전이 가능했으며, 이러한 다양성은 전 세계적으로 애니메이션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매력을 제공하며, 일본의 애니메이션 산업을 성장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일본은 애니메이션 강국으로 성장하게 되었으며, 높은 퀄리티와 다양한 콘텐츠로 재패니메이션이라는 고유문화를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좀 지루한 답변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되어 답변을 달도록 하니, 부디 끝까지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주관적인 내용이 있을 수도 있으니 그런 부분은 참고만 하시고, 오해하지는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애니메이션 강국이라 불리어 지는 일본.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해 보았을 때, 빼 놓을 수 없는 부분이 그렇다면 왜 한국은 일본에 비해 애니메이션이 뒤쳐지는가? 라는 것입니다. 애니메이션을 생산할 수 있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더 나은 점이 무엇이냐는 것이죠.


    첫 번째, 투자.

    가장 처음 언급 할 수 있는 문제는 투자 문제입니다. 애니메이션은 그냥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고, 자선사업도 아닙니다. 그만한 제작비가 투자되고, 그 투자는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입니다. 하지만, 무엇이든 시작이 있어야 어떤 결과든 있는 법. 일본과 비교해 봤을 때, 아직 한국 애니메이션은 시작도 해보지 못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제작된 그 수많은 애니메이션들은 무엇이냐? 라고 질문할 분이 계시겠죠. 또 해모수는 해외 수출까지 하는 등, 뛰어난 면모를 보여주지 않았냐? 라고 하실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럼 여기서 묻겠습니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많이 보았을 테죠? 그렇다면, 한국 애니메이션과 일본 애니메이션을 보았을 때, 당신이라면 어떤 애니메이션을 더 높게 평가하겠습니까? 아마 대부분이 일본 애니메이션 쪽을 드시겠죠.

    그리고 그 애니메이션들이 어떻게 만들어 진 것 같습니까? 다 때우기 위해 만들어 진 겁니다. 무슨 말이냐구요? 바로 이런 말입니다.

    한국의 방송국 법규에 1년간 한국 애니메이션을 일정 기간동안 방영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한 것들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애니메이션을 만들기는 하는 것이죠. 저런 것이 없었다면, 한국의 애니메이션은 아예 존재도 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한참 3D 애니메이션이 쏟아져 나올 때는 기억하시는 지요? 애니메이션을 만들 때 2D보다 3D가 돈이 더 적게 들이 때문이라는 황당한 이유로 시청률 끌지도 못하는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것입니다.

    투자에 따른 문제는 작가에게도 있습니다. 애니메이션을 만들 때는 원작이나, 그 내용이 필요합니다. 그 일은 물론 작가들이 합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작가들의 생활은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괜히 때려치우는 게 아니라는 거지요. 어디까지나 먹고살아야 하는 직업인 것입니다. 예술인으로서의 정신을 따지기 전에 먹고 살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어쩔 수 없지 않겠습니까? 투자가 이렇게 되지 않는데요. 투자도 해주지 않고 결과를 바라는 것부터 자체가 말도 안 되는 연출입니다.


    두 번째, 홍보(인지도)와 심의규정(시청등급).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상품이 마찬가지입니다. 만들기만 한다고 그 물건이 팔리나요? 보다 많이 팔기 위해선 홍보가 필수입니다. 신문에도 광고 기사를 올리고, 관련 잡지나, TV에도 광고를 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홍보가 제대로 된 적이 얼마나 있나요? 기껏해야 한가지 애니메이션이 끝나고 난 이후에 다음부터 무슨 애니메이션이 방영된다는 것이 고작입니다. 그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알아 줄 거라고 보십니까?

    애니메이션 자체의 인지로를 따져본다면, 모르는 사람은 아마도 거의 없겠죠. 만화책과 애니메이션을 단 한번도 보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테니까 말입니다. 그냥 스쳐지나가면서라고 본 적은 있을 테니, 모르는 사람은 없겠죠. 하지만, 한국 애니메이션이라는 조건을 달아봅시다. 과연 한국 애니메이션을 10개 이상 댈 수 있는 사람도 그렇게 많지 않을 걸요? 아직 어린 학생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애니메이션이 일본 것이라는 것조차 모르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하지만 일본 애니메이션을 물어 봅시다. 모르긴 몰라도 줄줄이 늘어놓으며 10개 이하인 사람이 없을 테죠.

    다음으로는 심의규정, 즉 시청등급 문제입니다. 시청 가능 연령층이 낮은 애니메이션일수록 많은 사람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비교해 볼 때, 한국의 기준 수위가 일본의 수위보다 훨씬 낮습니다. 즉, 일본에서 12세, 혹은 15세 시청등급 판정을 받은 것이 한국에 넘어오면 18세(19세)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는 겁니다. 거기에다가 시청등급의 구분도 일본에 비해서 적습니다.

    한국 공중파 방송에서 하루에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는 시간은 많아야 3시간 정도. 기타 다른 채널을 본다고 해도 애니메이션을 방영해 주는 채널을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전을 무서워한 나머지, 아동용 애니메이션만 만들어 방영하는 한국 애니메이션이 충분히 어필할 수 있을 리가 없지 않겠습니까?


    세 번째, 연계성.

    일본에서도 애니메이션만으로 큰돈을 버는 회사는 그렇게 많이 없습니다. 예를 든다면 지브리 정도가 있겠죠. 그렇다면 무엇으로 돈을 벌까요? 다른 부수적 상품으로 돈을 버는 겁니다. 일단 일본의 예를 들어보았을 때, 애니메이션이 제작되는 경우 원작 소설이나, NT노벨, 코믹스, 혹은 게임 등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이미 다른 것을 통해서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DVD, VCD, OST와 일러스트 집, 팬 북 등. 이어지는 캐릭터 산업. 이런 것들이 이루어지기에 이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얼마나 다른 연계성을 가지고 있습니까?

    한국은 다른 것은 몰라도 이쪽 부분에서는 새로운 것을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확실한 이익을 보장하는 것 외에 새로운 것을 해보려는 도전의식이 정말로 모자랍니다. 회사, 출판사, 제작사에서는 그러한 작품들을 밀어주지 않습니다. 그런 작품, 계속 해서 만들어 나갈 작가 분이 얼마나 될까요? 먹고 살아야 하는데 받아주지도 않을 작품을 만들라는 말입니까? 너무 무리한 요구입니다.

    이쪽 부분에서는 저작권 문제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저작권이 완전히 무시당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너무 공짜만 밝히는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공짜로 구한 것을 자랑하며 공유를 권하는 사람들은 또 무슨 생각인 겁니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욕하려면 얼마든지 하세요. 완전히 정신 개조를 시켜드리던지, 개무시를 해드리겠습니다.


    원하는 답변이 아니었을지 모르겠으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