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8월의크리스마스
8월의크리스마스23.12.15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가 있을까요?

우주는 암흑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럼 하늘도 암흑으로 보여야 맞는게 아닐까요?

왜 하늘은 파랗게 보이는걸까요?

착시 현상인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는 암흑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하늘은 파랗게 보입니다. 이는 빛의 산란 현상 때문입니다. 빛은 우주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모든 물체를 통과하며 산란되는데 이는 빛의 파장과 물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나고 파란색은 다른 색보다 파장이 짧기 때문에 더 많이 산란됩니다. 그래서 하늘은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보는 하늘의 파란색은 대기 중의 분자들이 빛을 산란시키는 결과입니다. 이러한 빛의 산란 현상은 우리가 하늘을 파랗게 보는 것뿐만 아니라 일출과 일몰 시간에 붉은 빛을 볼 수 있는 이유도 됩니다. 이렇게 빛의 산란 현상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자연 현상 중 하나이며 우주와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리 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고 있는 질소·산소 등과 같은 기체 분자와 부딪치면 여러 색깔로 분산되는데, 이 때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가을철이 되면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권에 들게 돼 파란색을 더욱 산란하게 하는 원인이 되어 가을의 하늘은 더욱 높고 파랗게 보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