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치료? 시술?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몇년 전부터 저희 아버지께서 통풍에 걸리셔서 꾸준하게 약을 드시고 식이요법까지 같이 하고 있는데요, 최근 증상이 너무 심해져서 엄지발가락 뼈가 많이 올라와 신발도 신기 힘들어하셔요. 특성상 일을 쉬실수가 없는데 좋은 시술이나 수술하게되면 회복기간이 얼마나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통풍으로 인하여 관절의 손상, 변형이 나타날수 있고 이 경우에는 통증 완화를 위해서 관절강내 주사 치료를 우선 해볼수 있습니다. 주사 치료로 증상이 완화된다면 요산 수치 관리를 잘 하시고 필요시 치료를 받으시면 되겠으며 이러한 치료에도 효과가 없다면 수술적 치료도 고려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통풍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통풍은 요산의 과다 축적으로 발생합니다. 요산은 우리가 먹는 여러 음식이 소화되어 최종적으로 대사된 후 나오는 물질입니다. 보통 혈액 내에 녹아 있다가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통풍 환자는 혈액 내 요산이 지나치게 많습니다. 이처럼 과다 축적된 요산은 결정체로 변하고, 이 요산 결정체가 관절 내에 침착하여 염증을 유발합니다.
급성 관절염 발작을 치료하기 위해 안정 치료와 약물 치료를 시행합니다. 약물은 소염제를 처방합니다. 일단 급성 발작이 완전히 가라앉기를 기다린 다음에 요산 저하제 치료를 계획합니다. 통풍이 완화되었다고 해서 요산 저하제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되며, 장기간 복용하면서 통풍을 관찰해야 합니다.
관절 발작의 빈도가 매우 드물거나 다른 신체 부위의 통풍 합병증이 없으면 식이 요법이나 금주 등 비약물 요법을 우선 시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절염이 자주 나타나거나, 가족력이 있거나, 관절 손상, 요로 결석, 통풍 결절이 이미 온 경우에는 혈액 내 고요산혈증을 낮추는 치료를 평생 지속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관절염은 물론 다른 장기의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통풍은 식습관과 비만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식생활을 개선해야 합니다. 고단백, 고칼로리식에는 통풍성 관절염의 원인이 되는 요산을 발생시키는 퓨린이 많이 들어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잦은 음주, 비만, 고콜레스테롤 혈증, 당뇨, 고혈압 등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치료해야 합니다. 저퓨린 식이와 금연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도움이 된 답변에는 답변추천과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더욱 좋은 답변들이 순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