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수려한백로159
수려한백로15923.11.15

혈액은 인공적으로 합성할 수 없을까요?

병원에 환자들을 수술하기 위해서는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어야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헌혈을 해서 피를 모으는 것이겠죠. 그런데 혹시 이 혈액을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기술은 불가능할까요? 우리나라의 경우 앞으로 인구도 줄어들고 해서 혈액 보충량이 점점 적어질 것 같기도 한데요. 혈액을 인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지 여부와 가능하다면 어떤 기술이 적용되는지 정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6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미 관련해서 연구가 계속 진행중입니다

    영국에서 사상 최초로 실험실에서 배양한 적혈구(red blood cell)를 사람에게 수혈하는 임상시험이 이뤄졌다. 일본에서는 이미 줄기세포로 만든 혈소판을 사람에게 이식하는 데 성공했으며, 국내에서도 같은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혈액이 임상시험에서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하면 만성적인 혈액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인공혈액은 수명이 더 길어 정기적으로 수혈을 받아야 하는 환자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가장 활발하게 연구중인 분야 중 하나로 인공혈액의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점차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과 같은 혈구와 혈장으로 구성되는데, 인공혈액의 경우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 생성 기술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고효율의 세포 분화 및 증식 기술이 필요하며, 증식능력이 뛰어난 역분화 줄기세포를 이용해 적혈구로 분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공 적혈구와 혈액 속 적혈구 간 구조를 일치시키기 위한 탈핵화 기술 개발이 선행돼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K-블러드 파밍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인공혈액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개발 사업을 집중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힌바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인공적혈구를 생산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실용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