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SUPERM
SUPERM

내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약 1.8프로 정도 보는것 같은데 왜 이런 예상을 한건가요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올해는 0.8프로 정도로 예상을 하구요 그리고 내년에는

약 1.8프로 정도로 경제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왜 이런 예상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내년 성장률을 1.8프로로 본다는 건 올해보다 조금 나아질 거라 보는 거죠. 이유는 크게 두 가지쯤으로 많이 얘기합니다. 하나는 세계 경기 회복 흐름에 우리나라 수출이 조금 살아날 거라는 기대. 특히 반도체 같은 주력 품목이 다시 팔릴 거라는 전망이 들어가 있습니다. 또 하나는 금리 인상 기조가 멈추면서 내수도 조금 숨통이 트일 거라는 계산이 깔린 겁니다. 물론 여전히 부동산이나 가계부채 부담 같은 리스크는 그대로라서 확 튀는 성장은 어렵다고 보는 겁니다. 그러니까 작년보다 낫지만 크게 반등하긴 힘들다는 식의 조심스러운 전망이 반영된 수치라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내년도 경제를 수출이 회복을 하는것으로 가정하고 있는것입니다 즉 내년도 글로벌 경제는 올해보다 수요가 증가할것이고 수출이 회복한다는 가정하게 저런식으로 예상 시나리오를 정하는것이며 그러면서 내년도에 정부의 재정지출이 증가한다는점도 이러한 요인중 하나입니다

    즉 반도체의 업사이클이 내년도에는 커질것으로 보이며 그리고 2025년도에는 글로벌 경제가 미국의 소프트 랜딩, 중국 경제의 점진적 안정화를 바탕으로 회복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것에서 착안한 예상성장률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출(특히 반도체) 회복이 성장률을 끌어올리지만 고금리, 가계부채, 부동산 조정이 내수에 브레이크를 걸어 완만한 회복 그림입니다. 중국 경기 둔화, 지정학 리스크가 하방, AI, 설비투자, 재정투입이 상방요인입니다. 그래서 1% 대 후반의 중간값 전망이 합리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률이 2.5% 미만이라고 한다면 이는 경제성장률이 둔화되었다고 표현합니다. 이는 경제성장이 둔화되었다고 하는 것은 시장에서의 소비나 투자가 줄었으며, 그만큼 내수소비등이 되지 않으니 재고가 쌓이고 이렇게 장기적으로 움직이면 결국 생산을 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있습니다. 경제성장률이 0%가 되지 않는다고 안도를 할 것이 아닌 경제활성을 위해 정책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약 1.8퍼센트로 보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올해 우리의 경제 상황이 너무 좋지 못했기에

    어느 정도의 기저 효과가 예상되어서

    1.8퍼센트 정도 오를 것으로 보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3분기 민간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 회복과 반도체 등 수출 호조로 성장률이 차차 상승하며 건설경기도 조금씩 회복되고 있어서 내년 경제성장률이 올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