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보험을 들고 있는데 들 필요가 없나요?
아파트에 살면 보험에 이미 가입되어 있어서
화재가 나도 중복보장이 안 되고
개인 화재보험과 실손보험처럼 나눠서나온다고
들 필요 없다는 말을 들어서요.
이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화재시 아파트보험에서는 보장이. 한정적인경우가많아요.
따라서 보완적측면에서 가입해두면좋아요
안녕하세요. 박지연 손해사정사입니다.
네 화재보험의 경우 다수가입시 비례보상이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보험인 경우에 추가 가입 및 화재벌금특약은 장기만 있기 때문에 그런 보상을 추가적으로 원하시는 경우에는 가입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아파트에 거주하시는거라면 아파트 단체 보험으로 화재보험을 가입합니다,
이 경우 개인이 화재보험에 가입하게 댄다면 중복으로 인하여 비례 보상은 맞습니다,
그래도 개인이 화재보험을 가입해야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1. 단체보험은 가입 금액이 작습니다.(건물.가재도구)
2.단체보험은 공동피보험자로 서로간의 배상 책임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예) 우리집에서 불이나서 옆집이나 위집으로 옮겨 붙는다면 이경우 우리집에서 배상을 해야합니다,
단체 보험에서는 화재배상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3.화재보험은 전문가 영역입니다,
전문가와 상담하여 보장 내용및 금액 설정하여 꼭 가입하셔서 미래를 대비하세요.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아파트에서 단체 화재보험을 가입해두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파트 단체 화재보험은 세대 각부분을 전체 보장하는것이 아닌
공용부분만 보상가능한 경우가 있기에 개별적으로도 준비하시는것이 제일 좋으며
화재보험에 대부분 급배수특약을 같이 넣어 설계하기에
추후에 누수발생시에도 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용 보험전문가입니다.
아파트가 가입하는건 공용부분에 대한 겁니다. 개인집에 대한 화재 배상책임은 없어요. 이부분때문에 반드시 가입하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영근 보험전문가입니다.
아파트에 거주하더라도 관리비에 포함된 단체 화재보험은 건물 공용부분이나 구조체에 대한 보장만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서 개인 가재도구나 내부 수리비, 화재로 인한 이웃 피해 보상 등은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 화재보험은 중복보장이 아니라 보장 범위를 넓히는 개념으로 자신의 집 내부 자산이나 배상책임을 대비하고 싶다면 여전히 가입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아파트에서 관리비로 나가는 아파트 공동화재보험은 아파트에 있는 공동시설 복도나 엘리베이터 계단 등에 화재로 인한 피해를 입었을 경우에 보상은 되지만 개인 거주지에 대한 보상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편입니다. 그래서 개인 화재보험은 따로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거주하고 계시는 곳이 월세든 전세든 자가든 실제로 거주하고 계시면 주택화재보험 가입대상이 되며 주택화재보험을 가입해두셔야 하는 것은 화재로 인해서 다른 집에 옮겨붙었을 때 다른 집에 대한 배상도 갖고 계시는 개인화재보험으로 보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개인 집에 있는 집기류 및 물품에 대한 보상은 개인화재보험으로 보상이 되기 때문에 아파트 공동주택 화재보험이 있다고 해서 가입할 필요가 없다고 하지 마시고 따로 가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개인이 드는 화재보험은 세대 내부 자산 보장용으로 별도 성격입니다. 두 보험은 보장 대상이 달라 중복보장이 아니라 보완관계에 가깝습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에 불이 나서 집안 가구나 TV가 불탔다면 개인 화재보험으로만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아파트에 산다고 해서 개인 화재보험이 “필요 없다”고 단정하기는 어렵고, 본인 소유 물품·인테리어 보장을 원한다면 개인 화재보험이 여전히 유용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화재보험의 경우 만약의 사태를 위해 필요한것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이는 내집에 대한 가치나 집기류, 타인에 대한 배상등의 항목을 위주로 점검 및 보상을 하는것으로 아파트에서 가입이 되엇다면 다행이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개인적인 준비도 필요해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