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나 세균은 추위에 강하나요?
남극이나 북극의 빙하을 잘못 녹여서 먹으면 과거의 바이러스나 균에 누출될수 있다고 합니다. 왜 바이러스나 균은 추운 곳에서 죽지않고 오랜시간 존재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나 균은 추위에 약합니다. 하지만 남극이나 북극에서 극심한 추위에 노출될 경우 얼어붙어 냉동 보존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훗날에 이것이 녹으며 다시 살아날 가능성도 있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중 일부가 체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활성이 잘 된다고는 하는데 바이러스보다는 사람의 문제입니다. 체온이 낮아지면 면역력도 떨어지기 때문에 여름의 사람보다 겨울의 사람이 감기에 더 걸리기 쉬운거죠.
습도의 영향은 있습니다. 여름은 습하고 겨울은 건조한데 감기 바이러스는 습도에 약하다고 하니 겨울에 가습기를 틀면 도움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작은 단위의 세포 및 바이러스이기에 가능성이 있는겁니다. 여러 조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당연히 죽었겠지만 단일 세포일 경우에는 생존확율이 훨씬 높겠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구진은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온도와 습도 변화에 따라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알아내기 위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유사한 입자를 만들었다.
그리고 액체와 고체 두 가지 조건 하에서 이들 입자들을 다양한 온도에 노출시켰다. 그리고 액체보다 건조한 상태에서 더 강한 모습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바이러스(입자)가 공기 중에 에어로졸 상태로 떠다니고 있을 때 습도가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건조한 상태가 전염력을 더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 30분 동안 33.9℃의 온도를 유지한 결과 외부 구조가 약화됐지만 액체로 보호된 입자보다 건조한 입자에서 더 강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21.7℃로 온도를 내렸을 때 습도에 관계없이 표면이 거의 손상되지 않았다.
이는 추운 날씨, 혹은 서늘한 실내 온도 조건에서 이들 바이러스 입자가 더 활성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