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03

고려와 거란과의 전쟁이 발발한 이유는?

고려는 삼국을 통일하고 고려초에 북진정책을 시행한 이래로 특별히 영토를 확장하지 않았는데 거란은 왜 고려와 전쟁을 3차례나 치르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견실한시라소니109
    견실한시라소니10923.12.03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가 계속하여 송과의 친선관계 등을 유지하는 등

    요나라와 거리를 두었기에 전쟁이 발발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란은 당나라가 멸망한 이후 5대 10국의 혼란을 틈타 몽골과 만주을 장악하고, 만리장성을 넘여 연운 16주를 차지하며 최초의 정복왕조로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후주 출신 조광윤이 송을 건국(960)하자 거란은 중원의 강력한 라이벌과 맞서게 됩니다.

    그런데, 고려는 친송 정책을 통해 문화적인 실리를 얻고자 하였으며, 송의 입장도 고려가 외교적으로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거란이 송과 대결하고 중원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배후인 고려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고 여겨 고려를 3차례에 걸쳐 침략(993, 1010, 1018)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란은 동호-선비계통의 몽골계통으로 5세기에 발원하여 10세기에 발해를 멸망시키고 만주와 중국 북부지역을 아우르는 동아시아의 강대국이 됩니다. 송과의 전쟁을 앞두고 송과 친교를 맺고 있는 고려를 선제 공격함으로써 후방위를 강화하고자 소손녕의 80만 대군으로 993년 1차 침입을 합니다. 고려 조정은 항복하자는 의견이 많았으나 서희의 담판으로 오히려 강동 6주를 할양받았으며 거란은 물러가게 됩니다. 1010년(현종 1)에 강조가 목종을 폐위시키고 현종을 옹립한 것을 빌미로 요나라 성종이 4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합니다. 양규장군 등의 거센 방어로 홍화진에서 혈투를 벌이자 비켜서 개경으로 군사를 보내 왕이 나주까지 피신하게 됩니다. 성종은 강조를 산채로 잡고 살해하고 병사를 물립니다. 1018년(현종 9)에 현종의 출조와 강동 6주 반환을 요구하며 소배압의 10만 대군으로 쳐들어왔습니다. 그러나 유명한 귀주대첩으로 강감찬 장군에게 대패하여 살아 돌아간 이들은 수천명에 불과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