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축의금은 3만원 내면 안되나여??

안녕하세요

보통 축의금을 내면 5만 10만 이렇게 5만 단위로 내는데요

3만원은 내면 안되나요? 왜 5만원 단위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곰살맞은곰46
      곰살맞은곰46

      수년전만해도 축의금 기본이 3만원이였 이였었죠

      현재는 축의금이 기본으로 5만원 이라고 많이들 인식하시는 이유가 옛날과 비교했을때 그만큼 물가상승이 큰이유가

      되지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어렸을때만해도 1000원으로 라면도사고 음료수도 샀는데

      지금은 1000원으로 과자하나 사먹기 힘들어졌잖아요

      그만큼의 물가상승으로인해서 결혼식장에서 식사를 하시게

      되면 예전에는 1인당 1만원 많게는 2만원이였던 것이

      지금은 1인당 3만원은 기본으로 넘어가기때문에 그런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이 됩니다.

    • 예식에 참석을 안하고 돈만 보내시면 그정도도 나쁘진않지만 요즘 예식 식대가 3만원이상 되는곳이 많기때문에 신랑,신부 결혼을 축하해 주는 의미로 기본 5만원은 하는것으로 보여집니다. 아는정도 예의상 5만원을가장 많이하고,친인척,친한선후배 사이면 보통 10만원,절친은20만원 이상 하기도 하지요. 가족단위라고 치면 인당 5만원씩 플러스 하여 축의금 을 드리는게 매너라고 보여집니다. 요즘 기본식대가35000원~10만원넘는곳도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될것같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웃으면복이와요입니다.

      보통 예전에는 3만원 기본 이었습니다

      친분이 많으면 5만원 이상이고

      하지만 근래 들어 5만원이 기본이 되었지요

      식대 때문입니다.

      뷔페 기본이 3만원 이상이니 3만원내기가

      미안하자나요..

      최소한의 성의겠지요..

    • 안녕하세요. 주씨먹는하마입니다.

      3만원을 내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현재 사회 분위기상 5만원 단위로 내는 것이 예의라는 분위기가 잡혀있습니다.

      3만원은 뭔가 5만원을 주기는 아까워서 2만원을 뺀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