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

나무는 초록색 하늘은 하늘색 사과는 빨간색인 이유는 뭘까요?

당연하게 생각해오던 것이었는데 생각해보면 자연의 것들이 고유의 색을 지니고 있고 그걸 눈으로 색이 확인된다는 점이 신기한거 같아요. 이런 자연의 색감도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가 초록색인 이유는 광합성 과정에서 엽록소라는 화학물질이 태양에서 받은 빛을 흡수하여 생산한 산소와 함께 식물체 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엽록소는 주로 녹색 스펙트럼의 빛을 흡수하여 나무의 잎이 녹색으로 보입니다.

    하늘은 천체인 태양, 달, 별 등에서 발산되는 빛이 대기 분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생기는 빛의 산란 현상으로 인해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하늘은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사과가 빨간색인 이유는 사과의 껍질에는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앤토시아닌(Anthocyanin)이라는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앤토시아닌은 사과가 성장하는 동안 생산되며, 태양 빛이나 기온 변화에 따라 빛의 파장이나 세기가 변화하면서 빨갛게 변합니다. 따라서, 사과의 껍질이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제가 이해하는 바로는 사물의 실제 색깔은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빨간색으로 보는 이유는 그 물체가 다른 빛은 다 흡수하고 빨간색만 반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따라서 빨간색으로 보인다고해서 실제 색깔이 빨간색이 아닐수도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처음엔 이해하기 힘드실수도 있습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물체의 색은 빛의 산란과 흡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빛은 물체에 충돌하여 반사, 흡수, 산란되는데 이 과정에서 물체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은 흡수하게 됩니다. 이 때 반사되는 파장에 따라 물체의 색이 결정되며,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등의 색은 빛의 파장에 따라 구분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는 초록색이고 하늘은 파란색인 것은 빛의 산란(Scattering) 현상 때문입니다.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 빛은 분자들과 충돌하여 산란되어 하늘에서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태양에서 오는 빛 중 파장이 긴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은 덜 산란되고, 직진하여 지표면에 도달합니다. 따라서 나무의 잎이나 초목들이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은 파란색 빛이 잎사귀의 세포에서 산란되어 발생한 것입니다.

    사과는 빨간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역시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하지만 나무와는 달리, 사과는 빨간색을 반사하는 색소인 '카로틴(Carotene)'과 '류코필(Rubixanthin)'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색소들은 파란색과 초록색을 흡수하고, 주황색과 빨간색을 반사하므로, 사과는 주로 빨간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자연의 색깔에 대해서도 과학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색깔은 빛의 파장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체가 가지는 색깔은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빛은 여러 가지 색깔로 이루어진 스펙트럼으로 나뉘며, 각 색깔은 특정한 파장을 가지게 됩니다. 물질이 빛을 받으면, 해당 물질이 가지고 있는 전자 구조 등의 특성에 따라 일부 색깔은 흡수되고, 나머지 색깔은 반사되어 우리가 볼 수 있는 색깔을 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