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매콤이
매콤이23.08.03

초전도체가 정확히 어떤건가요?

요 며칠 뉴스나 인터넷에 초전도체란 얘기가 많이 나오는데 초전도체가 정확히 어떤물질인가요?

우리나라에서 최초 개발한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민오빠입니다.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제로가 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입니다. 즉, 저온 상태에서 전기를 통과시킬 때, 전기 저항이 없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전도체는 전기 전달의 효율성이 높으며, 전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초전도체는 1911년에 네덜란드의 피터 킨들린크(Peter Kamerlingh Onnes)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매우 저온인 액체 헬륨 상태에서만 초전도 효과를 나타냈지만, 이후 연구를 통해 높은 온도에서도 초전도를 나타내는 물질들이 발견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연구팀이 철기반의 새로운 높은 온도 초전도체인 FeTe0.8S0.2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더 높은 온도에서의 초전도체 개발을 목표로 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초전도체는 현재 기술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재료로 인식되고 있으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톰아저씨크루즈여행^*^입니다.


    초전도 전이 온도(superconducting transition temperature, Tc)라고 하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 모든 전기 저항을 상실하는 물질을 초전도체(superconductor)라고 하며, 이 현상은 1911년에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오너스(H. K. Onnes)에 의해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