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푸른눈테해오라기05
푸른눈테해오라기0523.11.13

왜 김치와 겉절이 라고 다르게 표현하는걸까요???

왜 김치와 겉절이 라고 다르게 표현하는걸까요???

저는 같은 배추로 만든 김치인데 왜 말이 다르죠???

그 이유를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수려한백로159입니다.

    김치와 겉절이는 모두 배추를 이용해서 만들기는 하는데 차이는 바로 '발효'과정이 있냐 없냐에 있습니다. '김치'는 배추에 양념을 치고 일정 시간 동안 발효시킨 음식을 말하고, '겉절이'는 양념을 치자마자 바로 먹는 걸 가르키거든요.

    말하자면 겉절이는 김치의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고, 이런 겉절이도 맛있기 때문에 별도의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이죠. 특히 겉절이는 발효 과정이 없어서 김치보다 싱그럽고 바삭한 맛이 특징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초록지빠귀92입니다.겉절이는 소금을 살짜만 절여서 무침 하듯이 하여서 겉절이 라고 부르는것 같은데 제 생각입니다.


  • 안녕하세요. 냉철한라마35입니다. 김치 양념간을 속까지 깊게 한 것은 그냥 김치가 되고요 김치 양념을 김치 겉에만 살짝 버무린 것을 겉절이라고 해요